본문 바로가기
이슈/사회

끊이지 않는 비극: 악플과 자극적 보도에 무너지는 스타들의 이야기

by Agent 2025. 4. 19.

연예인들을 향한 무분별한 악성 댓글과 자극적 보도가 또 한 명의 젊은 스타를 세상에서 떠나보냈습니다. 스물다섯의 나이에 생을 마감한 배우 김새론의 사망 소식은 연예계에 또 다시 경종을 울렸지만, 이런 비극은 처음이 아닙니다. 설리, 구하라, 이선균까지... 악플에 시달리다 스스로 목숨을 끊은 스타들의 소식은 우리 사회에 깊은 성찰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배우 김새론
[카카오T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배우 김새론 [카카오TV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끊임없이 반복되는 악플의 비극

2019년, 가수 설리(본명 최진리)와 구하라가 잇달아 세상을 떠났을 때 우리 사회는 악플 문제의 심각성을 절감했습니다. 설리는 SNS에 올리는 일상 사진 한 장이 '설인업'(설리 인스타그램 업로드)이란 용어가 생길 정도로 화제가 됐고, 그에 따라 성희롱에 가까운 악플도 함께 증가했습니다^1. 구하라 역시 전 연인과의 법정 공방 과정에서 누리꾼들의 성희롱 댓글에 시달렸고, 생전에 이로 인한 고통을 호소했습니다^1.

2023년에는 배우 이선균이 마약 투약 혐의로 경찰 수사를 받던 중 세상을 등졌습니다. 당시 그의 피의사실과 관련된 온갖 정보가 무분별하게 보도됐고, 이른바 '사이버 렉카'라고 불리는 유튜브 채널들은 이선균의 사생활을 반복적으로 파헤쳤습니다^1. 심지어 일부 언론은 그의 사적인 녹취까지 보도해 윤리적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1.

가장 최근인 2025년 2월, 배우 김새론이 25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녀는 2022년 음주운전 사고 이후 활동을 중단하고 자숙의 시간을 가졌지만, SNS에 올린 사진 하나하나가 '음주운전'이란 낙인과 함께 기사화됐고, 카페에서 일하는 모습마저 조롱거리가 됐습니다^1.

악플 (CG) [연합뉴스TV 제공]
악플 (CG) [연합뉴스TV 제공]

포털 댓글 막혀도 여전한 악플의 확산

악플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자 네이버와 다음 등 국내 대형 포털은 2020년 연예 기사 댓글을 폐쇄했습니다^1. 이 조치로 포털에서의 악성 댓글이 63.3~65%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습니다^5.

하지만 안타깝게도 악플러들은 활동 무대를 옮겨 유튜브, 인터넷 커뮤니티, SNS 다이렉트 메시지(DM) 등으로 이동했습니다^2. 이른바 '풍선효과'가 나타난 것입니다. 포털에서의 악성 댓글이 줄어든 2020년 상반기에도 사이버 명예훼손과 모욕 신고 건수는 8,093건으로 전년 대비 5.6% 늘었다는 사실이 이를 뒷받침합니다^2.

"댓글창이 사라지자 다이렉트 메시지(DM)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악플이 늘어나는 '풍선효과'가 나타났습니다."^2

'탈덕수용소'와 사이버 렉카의 등장

특히 주목해야 할 현상은 '사이버 렉카'라 불리는 유튜브 채널들의 등장입니다. 대표적인 예로 '탈덕수용소'라는 채널은 여러 아이돌과 연예인들에 대한 악성 루머를 지속적으로 유포했습니다^9. 이 채널의 운영자(35세 여성)는 2021년 10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장원영 등 7명의 연예인을 비방하는 영상을 23차례 게시했으며, 2년 동안 약 2억 5천만 원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습니다^3.

충격적인 사실은 탈덕수용소가 댓글 아르바이트를 고용해 악플을 유도했다는 점입니다. "오늘부터 저랑 같이 유튜브 장원영 영상마다 표정 고나리 댓글 달 사람 구합니다"라며 짧은 댓글은 50원, 긴 댓글은 100원을 지급하는 모집글을 올렸다고 합니다^6. 이런 행위로 월 1,000만 원 상당의 수익을 올린 것으로 추정됩니다^6.

[이슈/사회] - 탈덕수용소의 몰락: K-Pop 아이돌을 괴롭힌 사이버 레커의 최후

 

탈덕수용소의 몰락: K-Pop 아이돌을 괴롭힌 사이버 레커의 최후

여러분은 혹시 '탈덕수용소'라는 이름을 들어보셨나요? 한국 연예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이 유튜브 채널이 결국 법의 심판을 받게 된 이야기를 오늘 자세히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무차별적인 명

agent-katrina.tistory.com

 

악플러의 심리와 여성 연예인에 대한 이중잣대

왜 사람들은 연예인에게 악플을 달고, 그들의 고통을 즐기는 것일까요?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명예교수는 "악성 댓글을 다는 사람은 (연예인을) 자기감정을 배출하는 창구로 여기는 것"이라며 "얼굴이 알려지거나 잘 나가는 사람이 실수했을 때 그것으로 위안을 얻고 (악플러들 사이의) 소속감도 느끼는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1.

더 큰 문제는 여성 연예인들이 더 가혹한 비판에 노출된다는 점입니다. 김새론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여성 연예인들은 외모부터 취미생활, 일상 활동까지 모든 면에서 과도한 비판을 받는 경향이 있습니다^4. 이는 우리 사회가 여성 연예인에게 더 엄격한 잣대를 들이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기획사와 업계의 대응

최근 연예기획사들은 악플에 대한 강경 대응에 나서고 있습니다. 아이브의 소속사 스타쉽엔터테인먼트는 멤버 장원영을 비방한 탈덕수용소 운영자를 찾아내 고소했고, 이에 강다니엘과 방탄소년단의 뷔·정국도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해 각각 수천만 원의 배상 판결을 받아냈습니다^1.

"과거에는 소송 비용 때문에 기획사들이 법적 대응을 도중에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1

BTS의 소속사 빅히트 뮤직은 "아티스트의 권익을 침해한 자들에 대해서는 어떠한 합의나 선처 없이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는 의지를 분명히 했으며, 탈덕수용소에 대한 손해배상 소송을 계속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11.

또한 한국매니지먼트연합, 한국연예제작자협회 등 연예계 단체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사이버 렉카에 대한 준엄한 처벌을 요구했습니다^9.

포털과 플랫폼의 노력

포털 사이트들도 악플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악성 댓글을 단 사용자의 이용 제한 상태를 프로필에 표시하는 기능을 도입했고^5, 다음은 '타임톡'이라는 채팅형 댓글 서비스를 도입해 기사 발행 24시간 후에는 댓글이 모두 사라지도록 했습니다^5.

이러한 정책 변화의 결과, 다음의 경우 '댓글 접힘' 기능 도입 후 혐오 댓글이 확연히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8. 연구팀은 "댓글 작성이 번거로워지면서 진입장벽이 높아져 혐오표현을 통해 정념을 배출하는 댓글 작성자들이 작성하지 않게 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습니다^8.

비극의 고리를 끊기 위한 방안

악플과 자극적 보도로 인한 비극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1. 개인의 성숙한 인터넷 윤리의식 함양
    • 곽금주 교수는 "개개인이 자신과 별 관련 없는 일에 (과격한 댓글을) 자제하고 절제하는 성숙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1.
  2. 플랫폼의 책임 강화
    • 실명 공개나 사이트 퇴출 등 악성 댓글 작성자에 대한 제재와 처벌 강화^1
    • 악성 댓글을 필터링하는 AI 기술 고도화^8
  3. 언론의 자성
    • '클릭'을 유발하는 자극적 보도 지양^1
    • 피의사실 보도에 있어 신중한 접근^1
  4. 법적, 제도적 보완
    • 연예계 단체들은 "무분별한 악플과 사이버 명예훼손 및 모욕 범죄에 대한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촉구^9
    • 수사기관의 적극적인 관심과 엄중한 처벌^9
  5. 연예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
    • 연예인도 한 명의 인간으로서 존중받아야 함
    • 특히 여성 연예인에 대한 이중잣대 해소^4

마무리

설리, 구하라, 이선균, 그리고 최근의 김새론까지. 악플과 자극적 보도로 인해 우리는 너무 많은 스타들을 잃었습니다. 이들의 죽음 이후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지만, 시간이 지나면 다시 같은 일이 반복되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비극의 고리를 끊기 위해서는 모든 주체—개인, 플랫폼, 언론, 법제도, 그리고 사회 전체—의 총체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무엇보다 우리 모두가 스크린 너머에 있는 사람들도 우리와 같은 감정을 가진 인간임을 기억하는 것이 첫걸음일 것입니다.

#악플 #사이버불링 #김새론 #설리 #구하라 #이선균 #명예훼손 #탈덕수용소 #사이버렉카 #인터넷윤리 #연예인인권 #자극적보도 #온라인혐오 #인터넷규제 #디지털윤리


Breaking the Cycle of Tragedy: Celebrities Suffering from Malicious Comments and Sensationalist Reporting

Another young star has left this world due to the indiscriminate malicious comments and sensationalist reporting targeting celebrities. The news of actress Kim Sae-ron's death at the age of 25 has once again sounded an alarm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but this tragedy is not the first of its kind. Sulli, Goo Hara, Lee Sun-kyun... The news of stars who took their own lives after suffering from malicious comments demands deep reflection from our society.

The Repeating Tragedy of Malicious Comments

In 2019, when singers Sulli (real name Choi Jin-ri) and Goo Hara passed away in succession, our society realized the seriousness of the malicious comment problem. Sulli's everyday photos posted on social media became so talked about that the term "Sulinup" (Sulli Instagram Upload) was coined, and with that came an increase in sexually harassing malicious comments^1. Goo Hara also suffered from sexually harassing comments from netizens during her legal battle with her ex-partner, and expressed her pain from this during her lifetime^1.

In 2023, actor Lee Sun-kyun took his own life while under police investigation for drug use allegations. At that time, all kinds of information related to his case was indiscriminately reported, and so-called "cyber wreckers" YouTube channels repeatedly delved into Lee Sun-kyun's private life^1. Some media outlets even reported his private recordings, drawing ethical criticism^1.

Most recently in February 2025, actress Kim Sae-ron passed away at the young age of 25. After her DUI accident in 2022, she suspended her activities and took time for self-reflection, but each photo she posted on SNS was turned into news articles with the stigma of "drunk driving," and even her working at a cafe became an object of ridicule^1.

Malicious Comments Persist Despite Portal Site Comment Blocks

As malicious comments became a social issue, major Korean portals such as Naver and Daum closed comments on entertainment news articles in 2020^1. This measure had the effect of reducing malicious comments on portal sites by 63.3-65%^5.

Unfortunately, malicious commenters simply moved their activities to YouTube, internet communities, and SNS direct messages (DMs)^2. This is known as the "balloon effect." Even during the first half of 2020 when malicious comments decreased on portal sites, the number of cyber defamation and insult reports increased by 5.6% to 8,093 case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2.

"When comment sections disappeared, there was a 'balloon effect' where malicious comments increased in direct messages (DMs) and online communities."^2

The Emergence of "Taldeok Suyongso" and Cyber Wreckers

A particularly notable phenomenon is the emergence of YouTube channels called "cyber wreckers." A representative example is the channel "Taldeok Suyongso," which continuously spread malicious rumors about various idols and celebrities^9. The operator of this channel (a 35-year-old woman) posted 23 videos defaming 7 celebrities including Jang Won-young from October 2021 to June 2023, and earned about 250 million won over two years^3.

Shockingly, Taldeok Suyongso hired comment part-timers to encourage malicious comments. They posted recruitment ads saying "Looking for people to write comments criticizing Jang Won-young's expressions on YouTube videos with me," offering 50 won for short comments and 100 won for long comments^6. It is estimated that they earned about 10 million won per month through these activities^6.

The Psychology of Malicious Commenters and Double Standards for Female Celebrities

Why do people leave malicious comments about celebrities and enjoy their pain?

Professor Kwak Geum-joo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Department of Psychology analyzed that "people who write malicious comments view (celebrities) as an outlet for their own emotions" and "find comfort when well-known or successful people make mistakes, and also feel a sense of belonging (among malicious commenters)"^1.

An even bigger problem is that female celebrities are exposed to harsher criticism. As seen in Kim Sae-ron's case, female celebrities tend to receive excessive criticism in all aspects, from their appearance to hobbies and daily activities^4. This shows that our society applies stricter standards to female celebrities.

Entertainment Agencies and Industry Response

Recently, entertainment agencies have been taking stronger actions against malicious comments. Starship Entertainment, IVE's agency, found and sued the Taldeok Suyongso operator who defamed member Jang Won-young, and Kang Daniel and BTS members V and Jungkook also filed damage suits and each won compensation of tens of millions of won^1.

"In the past, agencies often discontinued legal responses due to litigation costs, but the atmosphere has changed recently."^1

HYBE Music, BTS's agency, clearly stated their intention to "take legal action without any compromise or leniency against those who infringe on the rights of artists," and announced that they are continuing their damage suit against Taldeok Suyongso^11.

Entertainment industry organizations such as the Korea Management Federation and Korea Entertainment Producers Association also issued a joint statement demanding strict punishment for cyber wreckers^9.

Portal Sites and Platform Efforts

Portal sites are also making various attempts to solve the malicious comment problem. Naver introduced a feature that displays the usage restriction status on the profiles of users who posted malicious comments^5, and Daum introduced a chat-type comment service called "Time Talk" that makes all comments disappear 24 hours after an article is published^5.

As a result of these policy changes, Daum's "folded comment" feature was found to significantly reduce hate comments^8. The research team analyzed that "as comment writing became more cumbersome, the entry barrier increased, possibly causing comment writers who express their sentiments through hate expressions to stop writing"^8.

Measures to Break the Cycle of Tragedy

What efforts are needed to break the cycle of tragedy caused by malicious comments and sensationalist reporting?

  1. Development of Mature Internet Ethics for Individuals
    • Professor Kwak emphasized that "individuals need the maturity to exercise restraint and moderation in matters that have little to do with them"^1.
  2. Strengthening Platform Responsibility
    • Strengthening sanctions and punishments for malicious commenters, such as real-name disclosure or site expulsion^1
    • Advancement of AI technology to filter malicious comments^8
  3. Media Self-Reflection
    • Avoiding sensationalist reporting that generates "clicks"^1
    • Taking a cautious approach when reporting allegations^1
  4.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s
    • Entertainment organizations urged "improving the system for indiscriminate malicious comments and cyber defamation and insult crimes"^9
    • Active interest and strict punishment from investigative authorities^9
  5. Change in Social Perception of Celebrities
    • Celebrities should be respected as human beings
    • Elimination of double standards, especially for female celebrities^4

Conclusion

Sulli, Goo Hara, Lee Sun-kyun, and recently Kim Sae-ron. We have lost too many stars due to malicious comments and sensationalist reporting. After their deaths, there are voices of self-reflection, but the vicious cycle continues as the same things happen again after time passes.

To break the cycle of tragedy, we need the collective efforts of all parties—individuals, platforms, media, legal systems, and society as a whole. Above all, the first step would be for all of us to remember that the people behind the screens have the same emotions as we do.

#MaliciousComments #Cyberbullying #KimSaeRon #Sulli #GooHara #LeeSunKyun #Defamation #TaldeokSuyongso #CyberWreckers #InternetEthics #CelebrityRights #SensationalistReporting #OnlineHate #InternetRegulation #DigitalEthics

#악플 #사이버불링 #김새론 #설리 #구하라 #이선균 #명예훼손 #탈덕수용소 #사이버렉카 #인터넷윤리 #연예인인권 #자극적보도 #온라인혐오 #인터넷규제 #디지털윤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