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사회

진실을 가리는 음모론의 그림자: 세월호 희생자 아버지의 고백과 음모론의 실체

by Agent 2025. 4. 17.

세월호 참사 이후 11년, 한 아버지의 여정을 통해 바라본 음모론의 실체와 그 해소 과정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거짓말은 100번 하면 진실처럼 들린다"는 말이 현실이 되어버린 우리 사회에서, 음모론이 어떻게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가 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었는지 살펴봅니다.

세월호 희생자 고 장준형군의 아버지 장훈씨가 최근 경기 고양에서 세계일보와 만나 “음모론은 가족을 잃은 피해자들의 가슴을 또다시 후벼 파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고양=최상수 기자
세월호 희생자 고 장준형군의 아버지 장훈씨가 최근 경기 고양에서 세계일보와 만나 “음모론은 가족을 잃은 피해자들의 가슴을 또다시 후벼 파는 것”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고양=최상수 기자

세월호 음모론의 탄생과 확산

"음모론은 이미 상처 난 피해자 몸에 못 하나 더 박는 거예요."

2014년 4월 16일, 304명의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는 우리 사회에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고 장준형(당시 18세)군의 아버지 장훈(54)씨는 참사 발생 2주 후에야 아들의 시신과 마주할 수 있었습니다^1. 창자가 끊어지는 고통 속에서도 그의 머릿속에는 끊임없는 의문이 맴돌았습니다. "어떻게 거대한 배가 속절없이 기울어 가라앉았을까?"

이러한 의문은 장훈씨뿐만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자리 잡았고, 이 공백을 채운 것은 다양한 음모론이었습니다. 암초설이 수그러들자 '외부 충격설'의 또 다른 버전이 등장했습니다. 북한 어뢰에 피격당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었고, 그 '근거'로 세월호 침몰 전날인 4월 15일이 북한 김일성 주석의 생일인 '태양절'이라는 점이 제시되었습니다^2. 심지어 일부에서는 '국가정보원 간첩 증거조작 사건'을 덮기 위한 '의도적 침몰'이라는 터무니없는 주장까지 나돌았습니다^2.

 

 

세월호 참사 11주기: 304명의 희생을 기억하며, 우리의 약속을 되새기다

봄바람이 불어오는 4월, 우리 마음 한 구석에는 여전히 아픔으로 남아있는 날이 있습니다. 오늘은 304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간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정확히 11년이 되는 날입니다. 노란 리

agent-katrina.tistory.com

 

음모론이 피어나는 토양

진상규명분과장을 맡았던 장씨는 당시 여러 제보를 받았습니다. 세월호가 인양되지 않은 상태에서 검증되지 않은 음모론이 다수 포함돼 있었습니다^1. 그는 "이런 허황된 음모론이 터져 나온 것은 당시 희생자 유족들이 기댈 곳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회상합니다^1.

정부의 태도 역시 음모론에 불을 지폈습니다. 당시 정부는 참사가 "모두의 책임"이라고 밝혔고, 집권당에선 '세월호 교통사고론'을 언급하며 정부를 비호했습니다^1. 경찰은 추모 집회에서 희생자 유족들에게 물대포를 퍼부었고, 국군기무사령부로부터 개인적인 사찰을 받은 유족도 있었습니다^1.

"우리는 피해자일 뿐인데, '왜 탄압하지?'라는 생각이 들었죠. 그렇다면 거대한 음모가 숨은 게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뒤따랐어요. 책임을 회피하면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고, 거짓말을 하면 음모론이 생기는 겁니다."

 

"거짓말 100번이면 진실로 들려…상처 난 몸에 못 박는 격" [심층기획-당신도 음모론에 빠질 수 있

한눈에 보는 오늘 : 사회 - 뉴스 : <하> 음모론이 남긴 것 ‘세월호’ 준형이 아빠의 고백 어뢰 격침설·외부 배후설 등 소문 무성 실체적 원인 파헤친 뒤에야 의혹 풀어 “거짓 바로잡으려면 엄청

news.nate.com

 

네덜란드 마린에서 찾은 진실의 조각들

장훈씨가 음모론의 굴레에서 벗어나게 된 결정적인 계기는 참사 발생 4년 후인 2018년 7월, 네덜란드의 해양사고 조사업체 '마린'을 방문했을 때였습니다. 그곳에서 세월호 모형배를 대형 수조에 띄우고 줄로 잡아당겨 쓰러뜨리는 '외력설 실험'을 수백 번 반복하며 진행했습니다^1.

 

 

"물타기 음모론": 한국 사회의 정치 스캔들과 관심 전환 전략에 대한 분석

한국 사회에서 종종 등장하는 '물타기 음모론'은 정부나 권력층이 정치적 위기 상황에서 대중의 관심을 분산시키기 위해 연예계 스캔들이나 다른 이슈를 의도적으로 터뜨린다는 주장입니다. 이

agent-katrina.tistory.com

 

과학적 검증의 힘

마린에서는 세월호 크기를 약 25분의 1로 축소한 모형배를 제작해 대형 수조(길이 170m, 너비 40m)에 띄워놓고 무게중심, 화물량, 화물이동, 타각 등을 바꿔가며 자유 항주 실험을 진행했습니다^5. 이 실험의 목적은 세월호가 오른쪽으로 방향을 바꾼 뒤 왼쪽으로 빠르게 기울어진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었습니다^5.

또한 세월호의 빠른 침몰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30분의 1 크기의 모형으로 침수 실험도 진행했습니다. 감압 수조에서 대기압까지 30분의 1로 줄인 환경에서 실험함으로써 사고 당시와 가장 유사한 조건을 구현했습니다^7.

마린의 총괄 매니저 헹크 반덴붐은 장훈씨에게 단순하지만 근본적인 사실을 말해주었습니다. "정상적인 배는 외부의 충격이 있어도 애초에 쓰러지지 않는다"면서 "넘어가면 욕조나 마찬가지"라는 것이었습니다^1. 이는 그동안 장씨가 여러 전문가로부터 듣지 못했던 답이었습니다.

 

음모론의 실체와 고통

11년이 지난 지금, 음모론은 희생자 유족들에게 씻을 수 없는 상처로 남았습니다. 장훈씨는 "음모론은 가족을 잃은 피해자들의 가슴을 또다시 후벼 파는 것"이라면서 "그것이 꺼지지 않고 틈날 때마다 불거질 경우 유가족 입장에선 계속 상처를 더한다. 음모론끼리 합쳐져 소설처럼 부풀면 그 상처는 더 커지기 마련"이라고 설명했습니다^1.

또 다른 세월호 유가족인 정성욱 세월호가족협의회 선체인양분과장(故 정동수군의 아버지)은 "4년을 보내면서 누구도 믿지 못하는 의심병이 생겼다. 정부가 가족들을 이렇게 만들었다"며 자신들이 얼마나 벼랑 끝으로 내몰렸는지 토로했습니다^3.

음모론의 생산과 유통 - 그 뒤에 숨은 이익

음모론은 왜 계속해서 생산되고 유통될까요? 대형 참사 때마다 음모론을 주장해온 유튜버들이 있습니다. 한 유튜버 A(61)씨는 세월호 참사 직후 온라인 커뮤니티에 "세월호 1등 항해사는 국가정보원 요원", "정부와 해양경찰청이 자행한 학살극"이라는 주장을 635차례 올려 해경 대원들의 명예를 훼손한 혐의로 2018년 징역 1년 6개월을 확정받았습니다^4.

하지만 처벌 이후에도 그는 대형 참사 때마다 악성 루머 생산을 멈추지 않았고, 최근에는 '12·29 무안공항 제주항공 참사'가 조작됐다는 음모론 영상을 100여 차례 게시한 혐의로 다시 수사를 받고 있습니다^4.

김재윤 건국대 로스쿨 교수는 "조작된 악성루머를 유포해도 대부분 벌금형을 받는 등 형량이 굉장히 낮은 편"이라며 "경제적·정치적 이익을 노리고 음모론이나 가짜뉴스를 유통하는 유튜버 등이 큰 사회적·정치적 갈등을 일으키고 있는데, 관련 처벌을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4.

진실규명의 중요성과 음모론 대응방안

장훈씨가 사고 원인에 대한 실체에 다가서고 그것을 결과로 받아들인 뒤에야 음모론에서 벗어날 수 있었던 것처럼, 우리 사회도 음모론을 이겨내기 위해서는 철저한 진실규명이 필요합니다.

세월호의 실체적 원인은 단순하면서도 복합적이었습니다. 과적된 화물과 고박 불량, 기계 결함, 조타 미숙, 대피 지시 미흡과 같은 재난의 요건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순간 무너진 것이었습니다^1. 세월호 시뮬레이션을 총괄한 헹크 봄은 "세월호가 급격히 기울어지는데 복원성과 타각도, 화물이동 등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5.

이처럼 과학적 검증과 철저한 조사가 음모론을 해소하는 근본적인 방법입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김재윤 교수의 지적처럼 음모론과 가짜뉴스를 유통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 강화와 함께 '유튜브 특별법' 제정 등 보다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1.

결론: 상처를 치유하는 진실의 힘

장훈씨의 이야기는 음모론이 어떻게 피해자들에게 2차 가해가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그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 그의 여정은 진실을 찾는 과정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 진실이 어떻게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지를 알려줍니다.

우리 사회는 대형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음모론에 휩싸이지 않도록, 철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그리고 무엇보다 피해자와 유가족에 대한 존중과 공감이 필요합니다. 장훈씨의 말처럼 "책임을 회피하면 거짓말을 할 수밖에 없고, 거짓말을 하면 음모론이 생기는" 악순환을 끊어내야 합니다^1.

끝으로, 김광배 세월호가족협의회 사무처 팀장(故 김건우군 아버지)의 말을 되새겨 봅니다. "책임자 처벌도 중요하지만 앞으로 대한민국에서 세월호 참사와 같은 사고가 일어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3. 이것이 우리 모두가 기억하고 실천해야 할 과제입니다.


#세월호참사 #음모론대응 #진실규명 #장훈이야기 #네덜란드마린 #세월호모형실험 #가짜뉴스 #2차가해 #유가족인터뷰 #과학적검증 #악성루머 #사회적책임 #언론윤리 #정보리터러시 #진실의힘


The Shadow of Conspiracy Theories Obscuring Truth: A Sewol Ferry Victim's Father's Confession and the Reality of Conspiracy Theories

Eleven year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is is the story of one father's journey and the reality of conspiracy theories and how they were eventually resolved. In a society where the saying "a lie told 100 times sounds like the truth" has become reality, we examine how conspiracy theories became secondary victimization for the bereaved families, and how they were able to break free from this cycle.

The Birth and Spread of Sewol Ferry Conspiracy Theories

"Conspiracy theories are like hammering another nail into the already wounded victim's body."

On April 16, 2014, the Sewol Ferry disaster claimed 304 lives, leaving a deep wound in Korean society. Mr. Jang Hoon (54), father of the late Jang Jun-hyung (then 18), was only able to face his son's body two weeks after the disaster^1. Even in his gut-wrenching pain, endless questions lingered in his mind: "How could such a massive ship tilt and sink so helplessly?"

These questions resided not only in Mr. Jang's mind but in the minds of many, and the void was filled with various conspiracy theories. When the reef theory subsided, another version of the 'external impact theory' emerged. Some claimed the ferry was hit by a North Korean torpedo, citing as 'evidence' that April 15, the day before the Sewol sinking, was the 'Day of the Sun,' North Korean founder Kim Il-sung's birthday^2. Some even circulated the preposterous claim that it was an 'intentional sinking' to cover up the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spy evidence fabrication case'^2.

The Soil Where Conspiracy Theories Bloom

As the head of the Truth Investigation Division of the bereaved families, Mr. Jang received numerous reports. Many included unverified conspiracy theories, as the Sewol Ferry had not yet been salvaged^1. He recalls, "These absurd conspiracy theories emerged because the victims' families had nowhere to turn at the time"^1.

The government's attitude also fueled conspiracy theories. The administration at the time declared the disaster was "everyone's responsibility," while the ruling party defended the government by referring to the 'Sewol Ferry traffic accident theory'^1. Police fired water cannons at bereaved families during memorial rallies, and some families were even personally surveilled by the Defense Security Command^1.

"We were just victims, so I wondered, 'Why are we being suppressed?' That led to suspicions that there might be a grand conspiracy hidden. When responsibility is avoided, lies follow, and when lies are told, conspiracy theories emerge."^1

Pieces of Truth Found at MARIN in the Netherlands

The decisive moment that allowed Mr. Jang to break free from conspiracy theories came in July 2018, four years after the disaster, when he visited the maritime research institute 'MARIN' in the Netherlands. There, he witnessed hundreds of 'external force experiments' where a model of the Sewol Ferry was placed in a large tank and repeatedly tipped over by pulling on ropes^1.

The Power of Scientific Verification

At MARIN, they created a 1/25 scale model of the Sewol Ferry and conducted free sailing experiments in a large tank (170m long, 40m wide), changing variables such as center of gravity, cargo volume, cargo movement, and rudder angles^5.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identify why the Sewol Ferry tilted rapidly to the left after changing direction to the right^5.

To investigate the cause of the rapid sinking, they also conducted flooding experiments with a 1/30 scale model. By reducing the atmospheric pressure to 1/30 in a decompression tank, they recreated conditions as similar as possible to the actual accident^7.

MARIN's general manager, Henk van den Boom, told Mr. Jang a simple but fundamental fact: "A normal ship doesn't capsize even with external impact," adding that "if it tips over, it's basically like a bathtub"^1. This was an answer Mr. Jang had not heard from many experts before.

The Reality and Pain of Conspiracy Theories

Eleven years later, conspiracy theories remain an indelible wound for the victims' families. Mr. Jang explains that "conspiracy theories are like stabbing into the hearts of victims who have already lost family members," adding, "When they don't disappear and keep resurfacing, they continue to add wounds from the perspective of bereaved families. When conspiracy theories combine and inflate like a novel, those wounds only grow larger"^1.

Another Sewol Ferry family member, Jung Seong-wook, Head of the Salvage Division of the Sewol Families Committee (father of the late Jung Dong-su), expressed, "After four years, I developed a disease of being unable to trust anyone. The government made us this way," revealing how they were pushed to the edge^3.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Conspiracy Theories - The Hidden Interests

Why are conspiracy theories continuously produced and distributed? There are YouTubers who promote conspiracy theories after every major disaster. One YouTuber, Mr. A (61), posted claims such as "The Sewol Ferry's first mate was a National Intelligence Service agent" and "It was a massacre perpetrated by the government and the Coast Guard" 635 times on online communities after the Sewol disaster, resulting in a confirmed sentence of 1 year and 6 months in prison in 2018 for defaming Coast Guard officers^4.

However, even after punishment, he didn't stop producing malicious rumors after major disasters, and recently he has been under investigation for posting about 100 videos claiming that the 'December 29 Muan Airport Jeju Air Disaster' was fabricated^4.

Professor Kim Jae-yoon of Konkuk University Law School pointed out, "The punishment for spreading fabricated malicious rumors is typically very lenient, often just a fine," adding, "YouTubers distributing conspiracy theories and fake news for economic and political gain are causing major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s, so related punishments should be strengthened"^4.

The Importance of Truth Finding and Measures to Counter Conspiracy Theories

Just as Mr. Jang was only able to escape conspiracy theories after approaching the reality of the accident cause and accepting the results, our society also needs thorough truth-finding to overcome conspiracy theories.

The actual caus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both simple and complex. It collapsed instantly due to a combination of disaster factors such as overloaded cargo, poor lashing, mechanical defects, steering mistakes, and inadequate evacuation instructions^1. Henk Boom, who oversaw the Sewol Ferry simulation, said, "We will use experiments to find out how factors such as stability, rudder angle, and cargo movement affected the rapid tilting of the Sewol Ferry"^5.

Scientific verification and thorough investigation are the fundamental ways to dispel conspiracy theories. But that alone is not enough. As Professor Kim pointed out, stronger punishment for distributing conspiracy theories and fake news, along with more proactive responses such as enacting a 'YouTube Special Act,' are needed^1.

Conclusion: The Power of Truth in Healing Wounds

Mr. Jang's story shows how conspiracy theories can become secondary victimization for the bereaved and how they can break free from this cycle. His journey reveals how important the process of finding truth is, and how that truth can heal wounds.

Our society needs thorough investigation, punishment of those responsible, and above all, respect and empathy for victims and their families to avoid being engulfed in conspiracy theories whenever major disasters occur. As Mr. Jang said, we must break the vicious cycle where "when responsibility is avoided, lies follow, and when lies are told, conspiracy theories emerge"^1.

Finally, let us remember the words of Kim Kwang-bae, Secretary of the Sewol Families Committee (father of the late Kim Kun-woo): "Punishing those responsible is important, but it's with the hope that accidents like the Sewol Ferry disaster never happen again in Korea"^3. This is a task we all need to remember and practice.


#SewolFerryDisaster #ConspiracyTheoryResponse #TruthDiscovery #JangHoonStory #NetherlandsMARIN #SewolModelExperiment #FakeNews #SecondaryVictimization #BereavementInterviews #ScientificVerification #MaliciousRumors #SocialResponsibility #MediaEthics #InformationLiteracy #PowerOfTruth

#세월호참사 #음모론대응 #진실규명 #장훈이야기 #네덜란드마린 #세월호모형실험 #가짜뉴스 #2차가해 #유가족인터뷰 #과학적검증 #악성루머 #사회적책임 #언론윤리 #정보리터러시 #진실의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