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 그룹의 건설 계열사들이 심각한 위기에 직면해 있습니다. 최근 잇따른 안전사고, 특히 현대엔지니어링이 시공한 안성 고속도로 교량 붕괴 사고로 인해 그룹 차원의 대대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 사고는 단순한 사건을 넘어 기업의 근본적인 안전 체계와 사업 구조에 대한 재검토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건설 현장에서 안전은 타협할 수 없는 가치인데, 이것이 어떻게 위태로워졌는지, 그리고 현대차 그룹은 이 위기를 어떻게 극복하려 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이은 안전사고로 무너진 신뢰
2025년 2월 25일, 경기도 안성시 고속도로 건설 현장에서 교량 구조물이 붕괴되는 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이 사고로 4명의 귀중한 생명이 희생되고 6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1. 현대엔지니어링은 즉시 공식 사과문을 발표하고 유가족에게 애도를 표했지만, 이미 회사의 안전 관리 체계에 대한 의구심은 깊어진 상태였습니다7.
더욱 충격적인 것은 이 사고가 단발성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2024년 11월 7일, 현대자동차 울산 전기차 공장 건설 현장에서도 50대 작업자가 지붕 패널 설치 작업 중 추락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5. 또한 현대엔지니어링은 평택시 화양 도시개발구역 내 힐스테이트 아파트 건설 현장에서도 추락 사고로 2명의 사상자가 발생하는 등 안전사고가 연이어 발생했습니다6.
이러한 안전사고의 연속은 회사의 안전 관리 시스템에 근본적인 결함이 있음을 시사하며, 단순한 실수가 아닌 구조적인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품질 문제와 재정 위기의 이중고
안전사고와 더불어 현대엔지니어링은 품질 문제로도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은 2024년 3월부터 8월까지 건설사 중 하자 관련 민원 건수 1위를 기록했습니다5. 지난 5년간(2019년 9월~2024년 8월) 현대엔지니어링은 288건의 하자 사례를 기록하며 하자가 가장 많은 20대 기업 중 부끄러운 8위를 차지했고, 현대건설도 208건으로 14위에 올랐습니다5.
이런 품질 문제와 안전 우려는 회사에 대한 신뢰를 크게 훼손했습니다. 더불어 재정적 어려움도 가중되고 있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2024년 연결 기준 매출 14조 7,653억 원을 기록했지만, 1조 2,361억 원의 영업 손실을 기록하며 적자로 전환했습니다. 당기순손실은 9,906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5.
이러한 손실의 주요 원인은 인도네시아 RDMP 발리파판 프로젝트와 사우디아라비아 자푸라 프로젝트 등 해외 플랜트 프로젝트의 비용 증가, 품질 관련 추가 비용, 공사 기간 연장 등입니다.
그룹 차원의 구조조정 검토: 새로운 판을 짜다
이러한 위기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현대자동차 그룹은 계열 건설사 간 사업구조를 조정하여 '새 판'을 짜는 구조조정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구조조정의 핵심은 계열사 간 사업 부문별 역할 재정립과 중복 사업 축소, 그리고 안전 관리 강화에 있습니다.
구조조정 대상이 되는 주요 기업들의 지분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현대건설: 그룹 내 건설 부문 주력 회사 (현대차 20.95% 최대주주)
-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자회사 (현대건설 38.62% 최대주주, 정의선 회장 11.72% 2대 주주)
- 현대스틸산업: 현대건설 100% 자회사
이 구조조정에서 가장 큰 변화가 예상되는 부분은 현대엔지니어링의 토목·인프라 사업 부문입니다. 낮은 수익성, 높은 안전사고 리스크, 최근 교량 붕괴 사고 발생 등을 고려할 때, 이 사업 부문의 정리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현황을 살펴보면, 현대엔지니어링의 토목·인프라 사업 수주 잔량이 많지 않으며, 2026년이면 대부분 마무리될 예정입니다.
업계 관계자는 "최근 사고가 난 안성 고속도로만 마무리하면 토목 분야에서 수주 물량이 거의 남지 않아 '페이드아웃'이 가능하다"고 밝혔습니다.
안전에 대한 강력한 대응: 전국 80여 개 현장 가동 중단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러한 안전사고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전국 80여 개 건설 현장의 가동을 중단하고 안전 점검을 실시하기로 결정했습니다6. 이는 단순한 일시적 조치가 아닌, 안전 관리 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검토하고 개선하기 위한 결단으로 볼 수 있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 주우정 CEO는 교량 붕괴 사고 관련 기자회견에서 "우리 건설 현장에서 끔찍한 사고로 소중한 생명이 희생되고 부상자가 발생했습니다. 유가족에게 진심으로 사과드리며 깊은 애도를 표합니다"라고 사과했습니다7.
회사는 사고 조사에 전적으로 협조하고, 유사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철저한 조치를 취할 것을 약속했습니다. 또한 주변 주택 피해 평가 및 해결, 영향을 받은 주민들에 대한 필요한 지원 제공도 약속했습니다7.
현대건설의 안전 관리 강화 노력
한편, 현대건설은 안전 관리를 체계화하고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작년 10월 조직 개편을 통해 안전지원실을 안전관리본부로 격상시켰으며, 현장 안전 관리자를 전담화하고 중장비 전문가 풀을 확대했습니다4.
또한 협력업체의 안전 관리를 장려하기 위해 현장 안전 관리에 우수한 파트너에게는 500억 원 규모의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안전관리비 50% 선급금 제도'를 도입하여 협력업체가 현장 준비 단계부터 안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4.
"ZERO 중대재해"는 건설사와 파트너 모두가 안전을 인식할 때만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현대건설은 협력업체 평가 시 안전 점수 비중을 10%에서 30%로 3배 늘렸습니다4.
구조조정의 방식과 고려 사항
현대자동차 그룹의 건설 계열사 구조조정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과거부터 계열사 간 지분 정리, 사업 조정, 물적 분할 등 다양한 방안이 검토되어 왔습니다. 다만,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심사 가능성을 고려하여 법인 간 직접 합병보다는 사업 간 조정 형태의 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구조조정 과정에서는 기존 수주 계약 조정, 협력사 관계 재정비, 내부 인력 배치 문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특히 현대엔지니어링의 토목 부문이 정리될 경우, 관련 인력 및 자원은 현대건설에 집중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현대자동차 그룹은 안전사고에 대한 국토교통부의 엄중한 시각을 인지하고 포괄적인 '쇄신 계획'을 제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무엇보다 현대엔지니어링의 신뢰 회복이 최우선 과제가 될 것입니다. 특히 정의선 회장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 문제는 그룹 차원의 비상 상황으로 인식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장기적으로는 수익성이 낮은 부실 사업을 정리하고 고수익 사업 중심으로 재편하여 기업가치를 제고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의 IPO 가능성도 여전히 열려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차그룹의 건설 사업 구조조정은 단순한 사업 재편이 아니라, 그룹 차원의 중장기 전략과 연계된 움직임"이라고 평가했습니다.
결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을까?
현대자동차 그룹의 건설 계열사들이 직면한 위기는 심각하지만, 이 위기를 기회로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구조조정을 통해 비효율적인 사업 구조를 개선하고, 안전과 품질 중심의 경영 체계를 확립한다면, 장기적으로는 더 강한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거듭날 수 있을 것입니다.
현대건설의 "Hyundai E&C 2025 Strategy"는 안전 및 품질 중심의 건설 현장 관리, 스마트 건설 확대, 새로운 사업 추진 등을 통해 2025년까지 글로벌 톱티어 건설사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8. 이러한 전략이 단순한 구호가 아닌 실질적인 변화로 이어질 때, 진정한 혁신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현대자동차 그룹의 건설 계열사 구조조정은 결국 '안전'과 '신뢰'라는 기본 가치를 회복하기 위한 여정이 될 것입니다. 그 여정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때, 현대家 건설사들은 비로소 위기를 극복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전이 최우선인 건설 현장을 위한 제언
- 안전 문화의 근본적 변화: 단순한 안전 규정 준수를 넘어, 안전을 최우선 가치로 삼는 조직 문화 확립
- 투명한 소통과 책임 강화: 안전 관련 정보의 투명한 공유와 책임 소재의 명확화
- 협력업체와의 상생: 안전 관리 역량이 부족한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실질적 지원 강화
- 디지털 기술 활용: AI, IoT, 빅데이터 등 최신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안전 관리 시스템 구축
- 지속적인 교육과 훈련: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정기적이고 체계적인 안전 교육 프로그램 운영
이번 위기를 계기로 현대자동차 그룹은 건설 산업의 안전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선도적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것이 희생된 근로자들을 위한 가장 의미 있는 추모가 될 것입니다.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건설안전 #구조조정 #안전관리 #교량붕괴 #현대자동차그룹 #건설산업 #안전사고 #기업쇄신 #건설위기 #안전문화 #기업변화 #건설혁신 #근로자안전
🚨 Hyundai Construction Companies in Crisis: Group-Level Restructuring Under Consideration Following Series of Safety Accidents
Hyundai Motor Group's construction affiliates are facing a serious crisis. Recent safety accidents, particularly the Anseong highway bridge collapse involving Hyundai Engineering, have necessitated a major group-level restructuring. This accident goes beyond a simple incident, demanding a fundamental review of the company's safety systems and business structure. Safety is a non-negotiable value in construction sites, and we'll examine how it was compromised and how Hyundai Motor Group plans to overcome this crisis.
Trust Shattered by Consecutive Safety Accidents
On February 25, 2025, a bridge structure collapsed at a highway construction site in Anseong, Gyeonggi Province, resulting in a tragedy. Four precious lives were lost and six people were injured in this accident1. Hyundai Engineering immediately issued an official apology and expressed condolences to the bereaved families, but doubts about the company's safety management system had already deepened7.
What's more shocking is that this accident wasn't an isolated incident. On November 7, 2024, a worker in his 50s fell to his death while installing roof panels at Hyundai Motor's electric vehicle factory construction site in Ulsan5. Additionally, Hyundai Engineering experienced another accident at the Hillstate apartment construction site in Pyeongtaek City's Hwayang Urban Development Zone, where a fall resulted in two casualties6.
This series of safety accidents suggests fundamental flaws in the company's safety management system, revealing structural problems rather than simple mistakes.
Dual Hardship: Quality Issues and Financial Crisis
In addition to safety accidents, Hyundai Engineering is struggling with quality issues.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Hyundai Engineering ranked first in defect-related complaints among construction companies from March to August 20245. Over the past five years (September 2019-August 2024), Hyundai Engineering recorded 288 defect cases, ranking 8th among the top 20 companies with the most defects, while Hyundai E&C ranked 14th with 208 cases5.
These quality issues and safety concerns have significantly eroded trust in the company. Financial difficulties are also mounting. Hyundai Engineering reported consolidated revenue of 14.7653 trillion won in 2024 but recorded an operating loss of 1.2361 trillion won, transitioning into deficit. Net losses are estimated to reach 990.6 billion won5.
The main causes of these losses are increasing costs associated with overseas plant projects such as the RDMP Balikpapan project in Indonesia and the Jafurah project in Saudi Arabia, including additional quality-related expenses and extended construction periods.
Group-Level Restructuring Consideration: Creating a New Framework
To overcome this crisis, Hyundai Motor Group is considering restructuring plans to reorganize the business structure between its construction affiliates. The core of the restructuring focuses on redefining the roles of each affiliate by business sector, reducing overlapping businesses, and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The ownership structure of the major companies subject to restructuring is as follows:
- Hyundai E&C: The group's main construction company (Hyundai Motor holds 20.95% as the largest shareholder)
- Hyundai Engineering: Subsidiary of Hyundai E&C (Hyundai E&C holds 38.62% as the largest shareholder, Chairman Euisun Chung holds 11.72% as the second-largest shareholder)
- Hyundai Steel Industry: 100% subsidiary of Hyundai E&C
The most significant change expected in this restructuring is in Hyundai Engineering's civil engineering and infrastructure business division. Considering low profitability,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the recent bridge collapse, the likelihood of this business division being reorganized appears high. Looking at the current situation, Hyundai Engineering's backlog of civil engineering and infrastructure projects is not substantial and is expected to be mostly completed by 2026.
An industry insider stated, "Once they complete the Anseong highway where the recent accident occurred, they can 'fade out' from the civil engineering field as there are hardly any remaining orders."
Strong Response to Safety Concerns: Suspension of Operations at Over 80 Sites Nationwide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these safety accidents, Hyundai Engineering decided to suspend operations at over 80 construction sites nationwide to conduct safety inspections6. This can be seen as a decisive move to fundamentally review and improv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rather than a temporary measure.
At a press conference regarding the bridge collapse, Hyundai Engineering CEO Joo Woo-jeong apologized, stating, "A terrible accident has taken lives and injured workers at our construction site. I sincerely apologize to the bereaved families and extend my deepest sympathies"7.
The company promised to fully cooperate with the accident investigation and take thorough measures to prevent similar incidents in the future. They also committed to assessing and addressing damage to nearby residential properties and providing necessary assistance to affected residents7.
Hyundai E&C's Efforts to Strengthen Safety Management
Meanwhile, Hyundai E&C has been working to systematize and strengthen its safety management. Through an organizational restructuring in October last year, they elevated the Safety Support Office to the Safety Management Headquarters, made site safety managers full-time, and expanded their pool of heavy equipment experts4.
To encourage safety management among partner companies, they offer incentives worth 50 billion won to partners excelling in site safety management and introduced a "50% advance payment system for safety management fees" to help partners implement safety measures from the site preparation stage4.
"ZERO serious disaster" is possible only when both the builder and its partners are safety-aware. To this end, Hyundai E&C tripled the weighting of safety scores from 10% to 30% whe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its partners4.
Restructuring Methods and Considerations
Hyundai Motor Group's construction affiliate restructuring can take various forms. Various options have been considered in the past, including reorganizing shares between affiliates, business adjustments, and physical splits. However,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a corporate merger review by the Fair Trade Commission, restructuring in the form of business adjustments rather than direct mergers between legal entities seems more likely.
During the restructuring process, there are many challenges to address, including adjusting existing contracts, reorganizing relationships with partners, and internal personnel placement issues. In particular, if Hyundai Engineering's civil engineering division is reorganized, related personnel and resources are likely to be concentrated in Hyundai E&C.
Future Outlook and Challenges
Hyundai Motor Group needs to present a comprehensive "renewal plan," recognizing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s strict view on safety accidents. Above all, restoring trust in Hyundai Engineering will be the top priority. Particularly considering that Chairman Euisun Chung holds shares, this issue is likely to be recognized as a group-level emergency.
In the long term, a strategy is needed to reorganize around high-profit businesses by eliminating underperforming businesses, thereby enhancing corporate value. The possibility of an IPO for Hyundai Engineering is still understood to be open.
An industry insider evaluated, "Hyundai Motor Group's construction business restructuring is not simply a business reorganization but a movement linked to the group's mid-to-long-term strategy."
Conclusion: Can Crisis Be Turned Into Opportunity?
The crisis facing Hyundai Motor Group's construction affiliates is serious, but there is also the possibility of turning this crisis into an opportunity. By improving inefficient business structures through restructuring and establishing a management system centered on safety and quality, they could emerge as more competitive companies in the long run.
Hyundai E&C's "Hyundai E&C 2025 Strategy" presents a vision to become a global top-tier construction company by 2025 through safety and quality-centered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expansion of smart construction, and promotion of new businesses8. Real innovation will be possible when such strategies lead to substantial changes rather than remaining mere slogans.
Hyundai Motor Group's construction affiliate restructuring will ultimately be a journey to restore the fundamental values of 'safety' and 'trust.' When this journey is successfully completed, Hyundai's construction companies will finally overcome the crisis and lay the groundwork for a new leap forward.
Recommendations for Construction Sites Where Safety Comes First
- Fundamental change in safety culture: Establishing an organizational culture that prioritizes safety beyond simple compliance with safety regulations
- Transparent communication and strengthened accountability: Transparent sharing of safety-related information and clarification of responsibilities
- Mutual growth with partners: Strengthening practical support for small and medium-sized partners with limited safety management capabilities
- Utilizing digital technology: Building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s using the latest technologies such as AI, IoT, and big data
-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Operating regular and systematic safety education programs for all workers
Through this crisis, Hyundai Motor Group can play a leading role in changing the safety paradigm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That would be the most meaningful commemoration for the workers who have sacrificed.
#HyundaiConstruction #HyundaiEngineering #ConstructionSafety #Restructuring #SafetyManagement #BridgeCollapse #HyundaiMotorGroup #ConstructionIndustry #SafetyAccident #CorporateRenewal #ConstructionCrisis #SafetyCulture #CorporateChange #ConstructionInnovation #WorkerSafety
Citations:
- https://www.koreatimes.co.kr/www/nation/2025/03/113_392956.html
- https://koreajoongangdaily.joins.com/news/2025-03-05/national/socialAffairs/%EA%B3%A0%EC%86%8D%EB%8F%84%EB%A1%9C-%EA%B1%B4%EC%84%A4-%ED%98%84%EC%9E%A5%EC%97%90%EC%84%9C-%EA%B5%90%EB%9F%89-%EB%B6%95%EA%B4%B44%EB%AA%85-%EC%82%AC%EB%A7%9D-6%EB%AA%85-%EB%B6%80%EC%83%81/2252478
- https://www.reddit.com/r/SelfDrivingCars/comments/1fvvmux/waymo_and_hyundai_enter_multiyear_strategic/
- https://www.hdec.kr/en/newsroom/news_view.aspx?NewsSeq=491&NewsType=FUTURE&NewsListType=news_clist
- https://www.fntimes.com/html/view.php?ud=202502280902318396141825007d_18
- https://www.business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7243
- https://m-en.yna.co.kr/view/AEN20250228003151320?section=national%2Fnational
- https://en.hdec.kr/en/newsroom/news_view.aspx?NewsSeq=15&NewsType=LATEST&NewsListType=news_clist
- https://www.reddit.com/r/savannah/comments/1etr01i/traumatic_injuries_at_the_hyundai_construction/
- https://www.reddit.com/r/Hyundai/comments/w2ugvn/hyundai_seems_to_be_killing_it_why_are_people/
- https://www.reddit.com/r/kia/comments/16tox2w/hyundai_and_kia_recall_nearly_34_million_vehicles/
- https://www.reddit.com/r/Hyundai/comments/1hvxuju/the_safety_tech_review/
- https://www.reddit.com/r/cars/comments/1j6mrfc/kia_recalls_more_than_137000_vehicles_for_engine/
- https://www.reddit.com/r/Hyundai/comments/1fjj20n/i_am_having_serious_problems_with_my_car_it/
- https://www.reddit.com/r/Hyundai/comments/1gvpray/can_the_lane_keeping_assist_be_turned_off/
- https://www.reddit.com/r/Ioniq5/comments/15j19ts/hyundai/
- https://www.reddit.com/r/hondapilot/comments/1fuqw5h/buyer_beware_honest_2025_honda_review_i_wish_i/
- https://www.reddit.com/r/HyundaiTucson/comments/1eh63iq/random_emergency_braking_on_highway_in_tucson_blue/
- https://laotiantimes.com/2025/02/25/four-dead-six-injured-in-south-korean-bridge-collapse/
- https://www.koreatimes.co.kr/www/tech/2025/03/419_393913.html
- https://m-en.yna.co.kr/view/AEN20250228002900315?section=national%2Fnational
- https://alphabiz.co.kr/news/view/1065540067003198
- https://www.dezeen.com/2025/02/26/bridge-collapse-sejong-anseong-expressway-south-korea/
#현대건설 #현대엔지니어링 #건설안전 #구조조정 #안전관리 #교량붕괴 #현대자동차그룹 #건설산업 #안전사고 #기업쇄신 #건설위기 #안전문화 #기업변화 #건설혁신 #근로자안전
'이슈 >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사회의 불행 방정식: 높은 GDP, 낮은 행복지수의 뒤에 숨은 진실 (1) | 2025.03.28 |
---|---|
한국 응급의료시스템의 붕괴 위기: 원인과 대책 (1) | 2025.03.27 |
더본코리아의 위기: 백종원의 프랜차이즈 폐점이 유독 많은 이유 (0) | 2025.03.26 |
대선 후보의 말 한마디, 범죄가 될 수 있을까? - 허위사실공표죄의 경계를 새롭게 정의한 판결 (1) | 2025.03.26 |
환갑 넘은 산불진화대원, 대형 산불의 최전선에 서다 (0) | 2025.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