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사회

고독을 선택한 철학자는 알고 있었다: 왜 쇼펜하우어 열풍이 지금 한국을 강타했는가?

by Agent 2025. 4. 24.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지만, 동시에 그 어느 때보다 고립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역설적이게도 '자발적 고립주의자'였던 쇼펜하우어가 2023년부터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놀라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인생은 고통과 권태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시계추다"라고 말한 19세기 독일 철학자에게 21세기 한국인들은 왜 열광하고 있을까요? 단순한 유행인지, 아니면 우리 사회의 더 깊은 문제를 반영하는 현상인지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고독을 선택한 철학자는 알고 있었다: 왜 쇼펜하우어 열풍이 지금 한국을 강타했는가?
고독을 선택한 철학자는 알고 있었다: 왜 쇼펜하우어 열풍이 지금 한국을 강타했는가?

자발적 고립주의자에서 베스트셀러 작가로

쇼펜하우어는 내향적인 사람, 자발적 고립주의자였습니다. 그는 고립된 채 자기만의 길을 걸었고, 19세기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중 한 사람으로서 철학, 문학, 예술, 과학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4. 그런 그가 2023년부터 2024년까지 한국 사회에서 엄청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는 2023년 9월 출간 이후 5개월 넘게 베스트셀러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남에게 보여주려고 인생을 낭비하지 마라'와 같은 쇼펜하우어 관련 서적 역시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16. 2023년 한 해 동안 쇼펜하우어 관련 서적의 판매량은 2022년 대비 무려 14.5배나 증가했고, 2024년 1월에는 전년 동기 대비 26.5배나 폭증했습니다^7. 이런 현상은 단순한 유행을 넘어 우리 사회의 모습을 반영하는 중요한 신호입니다.

쇼펜하우어와 니체 관련 주요 도서
쇼펜하우어와 니체 관련 주요 도서

한국 사회의 고통과 염세주의 철학의 만남

헬조선에서 찾은 위안의 철학

"지옥을 의미하는 '헬(hell)'과 우리나라를 의미하는 '조선'을 결합해 만든 말로, 열심히 노력해도 살기가 어려운 한국 사회를 부정적으로 이르는 말"인 '헬조선'이라는 표현은 현대 한국 사회의 고단함을 압축적으로 보여줍니다^10. 이런 맥락에서 "인생은 의미가 없다. 태어나지 않는 게 가장 잘한 일이고, 태어났다면 빨리 죽는 게 그다음으로 잘한 일이다"라고 말한 염세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의 사상이 공감을 얻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러운 현상일지도 모릅니다^10.

한국이 OECD 국가 중 자살률 최고라는 사실은 많은 한국인이 사는 게 힘들다고 느끼고 있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줍니다^5. 유사 이래 최대의 물질적인 풍요를 누리면서도 사는 게 힘들다는 비명이 지금만큼 큰 적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5. 이러한 사회적 맥락에서 삶의 고통을 직시하고 그 원인과 극복 방안을 냉정하게 탐구하는 쇼펜하우어의 철학이 많은 한국인들에게 공감을 얻고 있는 것입니다.

비교 문화와 욕망의 덫

쇼펜하우어 열풍의 또 다른 원인으로 '비교로 인한 불행'과 '고된 현실'을 꼽을 수 있습니다. "요즘 들어 한국 사회에서 비교 문화가 심해졌다. 주식, 비트코인, 명품 등 다양한 측면에서 남과 자신을 비교하며 불행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고 '마흔에 읽는 쇼펜하우어'의 저자 강용수 연구원은 지적합니다^7.

쇼펜하우어는 고통의 원인이 우리가 '욕망의 존재'라는 데 있다고 보았습니다^5. 우리의 욕망은 한이 없기에 아무리 많이 가져도 결핍감에 시달리게 되는 것입니다. 자녀가 시험에서 90점을 받아 와도 부모는 100점을 받은 학생과 비교하면서 불안해하고, 연봉이 올라도 나보다 더 높은 연봉을 받는 친구 때문에 괴로워합니다^5. 이러한 설명이 현대 한국인의 경험과 너무나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쇼펜하우어의 철학에 매료되고 있는 것입니다.

격차와 편중이 만든 사회적 불안

현재 한국 사회의 가장 큰 문제 중 하나는 '격차와 편중'입니다. 빈부격차가 갈수록 커지면서 사람들이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심화되고 있고, 아울러 모든 사람이 어릴 적부터 경쟁의 격랑 속에서 허덕이고 있습니다^5.

이러한 분열은 정치 분야에서도 뚜렷하게 드러납니다. 정당들은 특정 정책보다는 민족, 인종, 종교적 정체성을 중심으로 결집하기 시작합니다^3. 이로 인해 사회 전체에 더 큰 분열이 초래되고,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정부에 대한 신뢰 상실로 인해 사람들은 결국 당파적인 정당에 결집하게 됩니다^3.

도시와 농촌 간의 격차, 도시 내 격차, 교육 격차, 기업 간 격차 등 다양한 형태의 불평등이 심화되면서 많은 이들이 내전에 가까운 갈등 상태를 경험하고 있다고 느끼는 것이 현실입니다^3. 이러한 불안정한 사회적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이해하고 위안을 찾기 위해 쇼펜하우어와 같은 철학자에게 관심을 돌리고 있는 것입니다.

철학의 실용적 소비: 삶의 지혜를 찾아서

자기계발서로 소비되는 철학서

현대 한국인들이 철학책을 선택하는 경향에서 주목할 만한 점은 철학을 추상이나 이론으로 접근하는 대신 삶을 살아가는 지혜나 처세술을 얻기 위한 일종의 자기계발서로 받아들이는 경향이 강하다는 것입니다^16. 쇼펜하우어와 니체가 인기인 이유도 "삶이 괴롭다면 그냥 평소보다 많이 먹고 많이 자라"(쇼펜하우어), "'왜?'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면 길은 보이지 않는다"(니체) 등 직설적이고 실용적인 명언이 와닿기 때문이란 분석이 있습니다^16.

베스트셀러 순위권에 든 철학책은 대부분 저자가 원전에서 발췌한 내용에 본인의 생각을 덧붙이거나 대중이 읽기 쉽게 다시 편집한 책이 많습니다^16. 이는 철학이 더 이상 전문가들만의 영역이 아니라, 일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용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코로나19와 철학 열풍의 연관성

국내에 생철학 열풍이 불기 시작한 때는 2020년, 즉 코로나19 유행 이후입니다^7. 팬데믹 상황에서 삶의 의미를 탐구하는 철학책을 찾는 발걸음이 늘기 시작했습니다. 가장 먼저 인기를 끈 서적은 철학자 '니체'의 책이었고, 이후 쇼펜하우어로 관심이 확장되었습니다^7.

코로나19는 많은 이들에게 고립과 단절을 경험하게 했고, 삶과 죽음에 대해 깊이 생각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런 경험이 삶의 의미와 고통에 대해 깊이 고찰한 철학자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 것입니다.

자발적 고립주의자가 된 현대인들

한국 사회에서 '자발적 고립주의자'가 되는 현상도 주목할 만합니다. "나는 고립당한 게 아니고, 스스로 고립을 선택했다. 왜? 살려고! 행복해지려고!"라고 말하는 이들이 늘고 있습니다^4. 이들은 타인과의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와 상처를 피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사회적 관계를 최소화하는 길을 선택합니다.

이러한 선택은 역설적이게도 고립을 자처했던 쇼펜하우어의 삶의 방식과 맞닿아 있습니다. 타인의 시선과 평가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함으로써 정신적 평화를 찾고자 하는 현대인들의 욕구가 쇼펜하우어의 철학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것입니다.

결론: 철학은 시대를 비추는 거울

쇼펜하우어는 세계와 인생의 어두운 면을 철저하게 폭로하면서 세상과 인생에 대한 가장 현실적인 통찰을 남겨 놓았고, 우리를 고통에서 벗어나게 해줄 수 있는 여러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5. 이백 년이 지난 이 시점에도 우리가 쇼펜하우어를 다시 소환하는 이유는, 그의 명쾌한 조언과 삶의 철학이 여전히 필요하기 때문입니다^5.

역사적으로 한국 사회는 특정 시기마다 다양한 철학적 유행을 겪어왔습니다. 각 시기의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맥락에 따라 우리는 서로 다른 철학자들에게서 위안과 지혜를 구했습니다. 오늘날의 쇼펜하우어 열풍은 극심한 경쟁, 양극화, 불확실성이 만연한 한국 사회의 현실을 비추는 거울입니다.

철학이 단지 학문적 탐구가 아니라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인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우리는 쇼펜하우어의 철학을 통해 비교와 경쟁에서 벗어나 내면의 평화를 찾고, 욕망을 조절함으로써 고통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배우고 있습니다.

당신은 어떤 삶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철학을 찾고 있나요? 쇼펜하우어가 말한 것처럼 "삶이 괴롭다면 그냥 평소보다 많이 먹고 많이 자는" 단순한 해결책이 때로는 가장 효과적일지도 모릅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자신의 욕망을 이해하고, 비교의 덫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신만의 삶의 방식을 찾는 것이 아닐까요?


#쇼펜하우어열풍 #철학열풍 #자발적고립주의 #헬조선 #염세주의철학 #현대한국사회 #철학과자기계발 #삶의지혜 #욕망과고통 #격차와불평등 #비교문화 #코로나19와철학 #니체 #실용철학 #심리적위안 #현대인의고독 #자기성찰 #내면의평화 #철학적처세술 #현대사회문제

Why Did Schopenhauer, a Voluntary Isolationist, Become the Protagonist of a Philosophical Trend?

In modern society, we are constantly connected yet feeling more isolated than ever before. Paradoxically, Schopenhauer, who was a "voluntary isolationist," has enjoyed remarkable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from 2023 until now. Why are 21st century Koreans so enthusiastic about this 19th century German philosopher who said, "Life is a pendulum swinging back and forth between pain and boredom"? Is it simply a trend, or does it reflect deeper problems in our society? Let's explore this together.

From Voluntary Isolationist to Bestselling Author

Schopenhauer was an introverted person, a voluntary isolationist. He walked his own path in isolation and becam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thinkers of the 19th century, having a profound impact on philosophy, literature, art, science, and many other fields^4. Since 2023, he has been enjoying tremendous popularity in Korean society.

"Schopenhauer to Read in Your Forties" has remained in the top ranks of bestsellers for more than five months since its publication in September 2023, and other Schopenhauer-related books such as "Don't Waste Your Life Trying to Impress Others" are also very popular^16. The sales of Schopenhauer-related books increased by 14.5 times in 2023 compared to 2022, and in January 2024, they surged by 26.5 time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the previous year^7. This phenomenon is more than just a trend; it is an important signal reflecting the state of our society.

The Meeting of Korean Society's Pain and Pessimistic Philosophy

Finding Comfort in Philosophy in "Hell Joseon"

The term "Hell Joseon," which combines "hell" with "Joseon" (Korea), negatively refers to Korean society where it's difficult to live despite working hard^10. In this context, it may be natural that the thoughts of Schopenhauer, a pessimistic philosopher who said, "Life has no meaning. Not being born is the best thing, and dying quickly is the next best thing if you were born," resonate with many^10.

The fact that Korea has the highest suicide rate among OECD countries clearly shows that many Koreans find life difficult^5. Despite enjoying the greatest material abundance in history, the cry that life is hard has never been louder than now^5. In this social context, Schopenhauer's philosophy, which directly confronts the pain of life and coldly explores its causes and ways to overcome it, resonates with many Koreans.

The Trap of Comparison Culture and Desire

Another cause of the Schopenhauer trend can be attributed to "unhappiness due to comparison" and "harsh reality." "Recently, comparison culture has intensified in Korean society. Many people feel unhappy by comparing themselves with others in various aspects such as stocks, bitcoin, luxury goods," points out Kang Yong-soo, the author of "Schopenhauer to Read in Your Forties"^7.

Schopenhauer saw the cause of pain as being "beings of desire"^5. Our desires are limitless, so we suffer from a sense of deficiency no matter how much we have. Parents worry when their child gets 90 points on a test by comparing them with students who got 100 points, and people feel distressed about friends who earn higher salaries even when their own salary increases^5. Many are captivated by Schopenhauer's philosophy because these explanations align so precisely with the experiences of modern Koreans.

Social Anxiety Created by Gaps and Biase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Korean society today is "gaps and biases." As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widens, people's sense of relative deprivation intensifies, and everyone is struggling in the turbulence of competition from a young age^5.

This division is also evident in the political sphere. Parties begin to rally around ethnic, racial, and religious identities rather than specific policies^3. This causes greater division throughout society, and due to anxiety about the future and loss of trust in the government, people eventually rally to partisan parties^3.

As various forms of inequality such as the gap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gaps within cities, educational gaps, and gaps between companies intensify, many feel they are experiencing a state of conflict close to civil war^3. In this unstable social situation, many people are turning to philosophers like Schopenhauer to understand their lives and find comfort.

Practical Consumption of Philosophy: Seeking Life's Wisdom

Philosophy Books Consumed as Self-Help

A notable trend in how modern Koreans choose philosophy books is that they tend to accept philosophy as a kind of self-help for gaining wisdom and tactics for living, rather than approaching it as abstraction or theory^16. The reason why Schopenhauer and Nietzsche are popular is also analyzed to be because straightforward and practical maxims such as "If life is painful, just eat more and sleep more than usual" (Schopenhauer) and "If you cannot find the answer to 'why?', the path will not be visible" (Nietzsche) resonate with people^16.

Most philosophy books in the bestseller ranks are ones where the author has excerpted content from the original text and added their own thoughts, or re-edited them to make them easier for the public to read^16. This shows that philosophy is no longer just the domain of experts but is being recognized as a practical tool for solving everyday problems.

The Relationship Between COVID-19 and the Philosophy Trend

The trend of life philosophy in Korea began in 2020, the year of the COVID-19 outbreak^7. During the pandemic, more people began to seek philosophy books that explore the meaning of life. The first popular books were those by the philosopher Nietzsche, and later interest expanded to Schopenhauer^7.

COVID-19 made many people experience isolation and disconnection, and made them think deeply about life and death. These experiences led to an interest in philosophers who deeply contemplated the meaning of life and pain.

Modern People Becoming Voluntary Isolationists

The phenomenon of becoming a "voluntary isolationist" in Korean society is also noteworthy. There are increasing numbers of people who say, "I am not isolated; I chose isolation. Why? To survive! To be happy!"^4 They intentionally minimize social relationships to avoid stress and hurt from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choice paradoxically aligns with Schopenhauer's way of life, who himself chose isolation. The desire of modern people to find mental peace by building their own world away from the gaze and evaluation of others is forming a sympathy with Schopenhauer's philosophy.

Conclusion: Philosophy is a Mirror Reflecting the Times

Schopenhauer thoroughly exposed the dark sides of the world and life, leaving the most realistic insights about the world and life, and suggesting various ways to free us from pain^5. The reason we summon Schopenhauer again at this point, two hundred years later, is because his clear advice and philosophy of life are still needed^5.

Historically, Korean society has experienced various philosophical trends during specific periods. Depending on th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context of each period, we have sought comfort and wisdom from different philosophers. Today's Schopenhauer trend is a mirror reflecting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which is full of intense competition, polarization, and uncertainty.

It is noteworthy that philosophy is being recognized as a practical tool for solving life's problems, not just academic inquiry. Through Schopenhauer's philosophy, we are learning how to find inner peace by escaping comparison and competition, and how to escape pain by controlling desire.

What life problems are you trying to solve through philosophy? As Schopenhauer said, sometimes the simplest solution, like "eating more and sleeping more than usual if life is painful," might be the most effective. But isn't the more important thing to understand your own desires, escape the trap of comparison, and find your own true way of life?


#SchopenauerTrend #PhilosophyTrend #VoluntaryIsolationism #HellJoseon #PessimisticPhilosophy #ModernKoreanSociety #PhilosophyAndSelfDevelopment #LifeWisdom #DesireAndPain #GapsAndInequality #ComparisonCulture #COVID19AndPhilosophy #Nietzsche #PracticalPhilosophy #PsychologicalComfort #ModernSolitude #SelfReflection #InnerPeace #PhilosophicalConduct #ModernSocietyProblems

#쇼펜하우어열풍 #철학열풍 #자발적고립주의 #헬조선 #염세주의철학 #현대한국사회 #철학과자기계발 #삶의지혜 #욕망과고통 #격차와불평등 #비교문화 #코로나19와철학 #니체 #실용철학 #심리적위안 #현대인의고독 #자기성찰 #내면의평화 #철학적처세술 #현대사회문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