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세계를 잇는 한국의 힘, K-디아스포라와 양향자 대표의 비전

by Agent 2025. 4. 18.

전 세계에 흩어진 750만 재외동포의 잠재력을 활용해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는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 이 혁신적인
네트워크를 이끌고 있는 양향자 상임대표의 비전과 활동을 심층 분석합니다.

K-디아스포라 범세계 추진연대 포럼 개회사하는 양향자 의원
K-디아스포라 범세계 추진연대 포럼 개회사하는 양향자 의원

K-디아스포라, 세계 한인 네트워크의 새로운 패러다임

'디아스포라(Diaspora)'라는 단어는 원래 '흩뿌리거나 퍼트리는 것'이라는 의미로, 세계에 흩어져 있는 유대인들을 지칭하던 용어였습니다. 현대에 와서는 조국을 떠나 타국에 정착한 모든 사람들을 일컫는 말이 되었죠^1. 'K-디아스포라'는 한국 밖에 살고 있는 한인, 그리고 국적이나 인종에 상관없이 한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가진 모든 사람을 포함하는 개념입니다^2.

이민의 역사가 120년을 넘어선 대한민국은 현재 전 세계 180여 개국에 약 750만 명의 재외동포를 두고 있습니다^1. 이는 유대인 다음으로 큰 규모의 디아스포라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있는 것인데요. 특히 주목할 점은 이 중 약 200만 명이 9세에서 20세 사이의 청소년이라는 사실입니다^1.

하지만 오랫동안 대한민국은 이렇게 소중한 인적 자원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했습니다. 강제 이주를 당하거나 가난한 조국을 떠나야 했던 가슴 아픈 이민의 역사를 가진 고려인, 조선족, 애니깽, 파독 동포, 재일 동포, 재미 동포 등은 독립자금을 지원하거나 외화벌이를 하면서 한국의 밑거름이 되었음에도, 시간이 흐르며 점차 잊혀 가고 있었습니다^1.

 

국민의힘 1차 경선 후보자 비전대회 양향자 발언 풀영상

 

양향자 상임대표, 삼성에서 K-디아스포라로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고자 나선 인물이 바로 국민의힘 대선후보 양향자 전 의원입니다. 그는 현재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의 상임대표로서, 한인 동포의 경제적 잠재력을 키우고 급격하게 노령화가 진행되는 한국 사회에 젊은 피를 수혈하기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선언했습니다^1^3.

양향자 대표는 사실 이 분야의 전문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는 삼성그룹 역사상 첫 여상 출신 임원으로, 연구보조원에서 시작해 수석연구원, 상무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입니다^5. 삼성전자 근무 시절부터 양 대표는 국내 인재만으로는 반도체 산업의 주도권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했고, 디아스포라 네트워크의 필요성을 절감했다고 합니다^5.

"삼성이 글로벌 기업으로 우뚝 선 것은 다양성을 인정했기 때문이에요. 삼성이 세계에 흩어졌던 국내 인재를 포함해 외국인, 여성, 장애인 인력까지 포괄적으로 활용하면서 인적자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었습니다."^5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양 대표는 국회반도체특별위원회 위원장을 맡기도 했으며, 이제는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를 통해 해외 한인 네트워크 구축에 힘쓰고 있습니다^6.

K-디아스포라의 영감, 이스라엘 '벌스 라이트'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는 이스라엘의 '벌스 라이트 이스라엘(Birth Right Israel)' 정책에서 영감을 받아 모델링되었습니다^1^6. 이 정책은 유대인 부모를 둔 자녀가 열흘 동안 이스라엘을 무료로 여행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유대인 디아스포라들이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이스라엘을 위해 기여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입니다^1.

"유대인의 역사가 세계의 경제사라고 할 만큼 커질 수 있었던 것은 전 세계 유대인 디아스포라의 힘 덕분입니다."^4 양 대표는 이렇게 말하며, 한국도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한국 디아스포라들을 연대하고 지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K-디아스포라의 세 가지 핵심 사업

양향자 대표는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의 주요 사업을 크게 세 가지로 정리합니다^2:

1. 유대감 형성

K-디아스포라는 유대감 형성을 위해 K-컬처 콘텐츠와 프로그램을 개발·확산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문화적 유대감을 강화하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것이 목표입니다^2. 글로벌 K-컬처 커뮤니티를 확장하고 활성화함으로써, 재외동포들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잃지 않도록 돕고 있습니다.

2. 연대 구축

연대 구축을 위해서는 온·오프라인 통합 커뮤니티 환경을 조성하고, 파트너십 기관들과 다양한 공동 활동을 진행합니다^2. 이미 경상북도와 'K-디아스포라 프로젝트 추진 업무협약(MOU)'을 체결했으며, 강남구청, 화성시청 등 전국 지자체와의 업무협약도 이어가고 있습니다^7.

3. 미래 인재 양성

가장 주목할 만한 부분은 미래 인재 양성입니다. K-디아스포라는 K-컬처 활동 기록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공익 활동 및 청소년 진로 설계에 활용할 계획입니다^2. 특히 반도체와 같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세계에 흩어진 한인 인재들을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양 대표는 "1983년 시작된 대한민국 반도체가 1993년 1등에 오를 수 있었던 힘의 원천은 전 세계에 흩어진 우리 인재 덕분이지만, 20년 전부터 이 힘을 우리가 얻어내기 어렵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합니다^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디아스포라를 통한 글로벌 인재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K-디아스포라가 해결할 수 있는 대한민국의 과제들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는 단순히 문화적 정체성 유지를 넘어 대한민국이 직면한 여러 과제들을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인구절벽과 인재 부족 문제

한국은 현재 심각한 저출산 고령화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양향자 대표는 K-디아스포라가 한국의 인구절벽과 인재 부족 문제에 대한 가시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다고 강조합니다^6. 해외에 있는 인재를 고국으로 불러들일 수 있고, 인구절벽에 빠진 국가적 위기도 덜 수 있으며, 부족한 인재 충당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6.

과학기술 경쟁력 강화

특히 반도체와 같은 첨단 산업 분야에서 세계적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인재 네트워크가 필수적입니다. 양 대표는 "K-반도체는 대한민국의 단순한 먹을거리 차원을 떠나 국가 미래 존립과도 직결된 사안"이라고 강조합니다^6. 이러한 중요한 산업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K-디아스포라를 통한 글로벌 인재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K-디아스포라의 활동과 성과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는 이미 여러 활동을 통해 그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 8월에는 44명의 재외동포를 한국으로 초청해 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했습니다^5. 한 참가 학생은 "내 뿌리에 대해 알게 되어 좋았다"는 소감을 전했다고 합니다^5.

또한 2022년 4월 1일에는 아침편지문화재단, 푸른나무재단, 코리아헤럴드와 공동으로 <한민족 디아스포라 범세계 추진연대 포럼>을 개최했습니다^7. 이 포럼에서는 'K-디아스포라 청년들과의 연결'을 주제로 전 세계에서 살아가는 한인 청년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재외동포 청소년의 한민족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습니다^7.

미래를 향한 K-디아스포라의 비전

양향자 대표는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가 단순한 문화 교류를 넘어,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한 네트워크로 발전하기를 희망합니다. "전 세계를 아우르는 세계 연대로서, 앞으로 대한민국이 지속가능한 국가가 되는 한 이 명칭은 계속 살아 있을 것"이라고 강조합니다^3.

특히 재외동포 청소년 및 청년들의 유대감을 강화하고, 그들에게 한국의 문화와 역사를 고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를 통해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는 과학기술 미래 인재를 확보해 국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양 대표는 설명합니다^1.

결론: 세계 한인 네트워크의 힘을 모으다

750만 재외동포, 그중에서도 200만 청소년의 잠재력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한 소중한 자산입니다. 양향자 대표가 이끄는 K-디아스포라 세계연대는 이들과의 연결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을 강화하고, 글로벌 인재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대한민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K-디아스포라는 "디아스포라가 애국심을 느끼고 정체성을 찾도록 도와준다면 고국을 위해 이로운 일을 할 것"이라는 확신 아래^5, 전 세계 한인들의 잠재력을 하나로 모아 대한민국의 미래를 밝게 비추는 등불이 될 것입니다.

여러분도 K-디아스포라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지원해보는 건 어떨까요? 세계 곳곳에 흩어진 우리 한민족의 힘을 모아 더 큰 도약을 이루는 일에 함께할 수 있습니다.


#K디아스포라 #양향자 #재외동포 #글로벌네트워크 #한민족정체성 #재외동포청 #벌스라이트 #한국문화 #인재육성 #과학기술인재 #반도체산업 #청년네트워크 #국제교류 #인구절벽해결 #문화교류 #한인정체성 #디아스포라프로젝트 #글로벌인재


The Global Power of Korea: K-Diaspora and Chairperson Yang Hyang-ja's Vision

Harnessing the potential of 7.5 million overseas Koreans scattered around the world to design the future of South Korea - this is the K-Diaspora Global Solidarity. We take an in-depth look at the vision and activities of Yang Hyang-ja, the standing representative leading this innovative network.

K-Diaspora: A New Paradigm for the Global Korean Network

The word 'Diaspora' originally meant 'to scatter or spread,' referring to Jews dispersed throughout the world. In modern times, it has come to mean anyone who has left their homeland and settled in another country^1. 'K-Diaspora' includes all Koreans living outside Korea, as well as anyone who identifies as Korean regardless of nationality or ethnicity^2.

With an immigration history spanning over 120 years, South Korea currently has about 7.5 million overseas Koreans in more than 180 countries worldwide^1. This forms the second largest diaspora community after the Jewish diaspora. Notably, about 2 million of these are youth between the ages of 9 and 20^1.

However, for a long time, South Korea did not pay sufficient attention to this valuable human resource. Koreans with painful immigration histories—whether forced to relocate or having to leave their impoverished homeland—such as Goryeo-in, Korean-Chinese, Aniking, Korean miners and nurses in Germany, Korean-Japanese, and Korean-Americans, who supported independence funds or earned foreign currency to lay the foundation for Korea, have gradually been forgotten over time^1.

Yang Hyang-ja: From Samsung to K-Diaspora

The person who stepped forward to improve this situation is former Reform Party Assemblywoman Yang Hyang-ja. She is currently the standing representative of 'K-Diaspora Global Solidarity,' and has declared full-scale activities to build the economic potential of Korean expatriates and inject young blood into Korean society, which is rapidly aging^1^3.

Yang is actually an expert in this field. She was Samsung Group's first female executive from a commercial high school background, rising from research assistant to senior researcher to executive director^5. During her time at Samsung Electronics, Yang determined that domestic talent alone would not be enough to maintain leadership in the semiconductor industry, and keenly felt the need for a diaspora network^5.

"Samsung rose as a global company because it recognized diversity. Samsung was a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human resources by comprehensively utilizing domestic talent scattered around the world, as well as foreigners, women, and people with disabilities."^5

Based on this experience, Yang also served as the chairperson of the National Assembly's Special Committee on Semiconductors, and is now dedicated to building an overseas Korean network through 'K-Diaspora Global Solidarity'^6.

K-Diaspora's Inspiration: Israel's 'Birthright'

K-Diaspora Global Solidarity was modeled after Israel's 'Birthright Israel' policy^1^6. This program provides children of Jewish parents with the opportunity to travel to Israel for ten days for free, helping Jewish diaspora establish their identity and contribute to Israel^1.

"The reason Jewish history could become as significant as world economic history is due to the power of the global Jewish diaspora."^4 Yang says, adding that Korea also aims to unite and support Korean diaspora scattered around the world in a similar way.

Three Core Initiatives of K-Diaspora

Yang outlines three main initiatives for K-Diaspora Global Solidarity^2:

1. Building a Sense of Unity

K-Diaspora is developing and disseminating K-culture content and programs to build unity. The goal is to strengthen cultural bonds and foster a sense of community^2. By expanding and activating the global K-culture community, they are helping overseas Koreans maintain their Korean identity.

2. Establishing Solidarity

To establish solidarity, they are creating an integrated online and offline community environment and conducting various joint activities with partner organizations^2. They have already signed a 'K-Diaspora Project Promotion MOU' with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are continuing to form partnerships with local governments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Gangnam-gu Office and Hwaseong City Hall^7.

3. Cultivating Future Talent

The most notable aspect is cultivating future talent. K-Diaspora plans to build a system to record K-culture activities and use this for public service and youth career planning^2. In particular,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utilizing Korean talent scattered around the world in cutting-edge technology fields such as semiconductors.

Yang says, "The source of power that enabled Korea's semiconductor industry, which started in 1983, to rise to number one in 1993 was thanks to our talent scattered around the world, but I realized that it has been difficult for us to harness this power for the past 20 years"^2. To solve this problem, building a global talent network through K-Diaspora is necessary.

Challenges That K-Diaspora Can Address for South Korea

K-Diaspora Global Solidarity can contribute to solving various challenges faced by South Korea beyond simply maintaining cultural identity.

Population Cliff and Talent Shortage

Korea is currently facing a serious low birth rate and aging population problem. Yang emphasizes that K-Diaspora can provide visible solutions to Korea's population cliff and talent shortage^6. It can bring talent from abroad back to their homeland, alleviate the national crisis of the population cliff, and contribute to filling the shortage of talent^6.

Strengthen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in advanced industry fields like semiconductors, a global talent network is essential to maintain global competitiveness. Yang emphasizes that "K-Semiconductors are not just about South Korea's livelihood but are directly linked to the future existence of the nation"^6. To maintain competitiveness in such important industrial fields, building a global talent network through K-Diaspora is necessary.

K-Diaspora'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K-Diaspora Global Solidarity is already showing its potential through various activities. Last August, they invited 44 overseas Koreans to Korea for an educational program^5. One participating student shared, "I was glad to learn about my roots"^5.

On April 1, 2022, they also held the jointly with the Morning Letter Cultural Foundation, Blue Tree Foundation, and Korea Herald^7. This forum discussed ways to strengthen Korean ethnic identity of overseas Korean youth with the theme of 'Connecting with K-Diaspora Youth', directly listening to the voices of Korean youth living around the world^7.

K-Diaspora's Vision for the Future

Yang hopes that K-Diaspora Global Solidarity will develop into a sustainable network for the future of South Korea beyond simple cultural exchange. She emphasizes, "As a global solidarity encompassing the whole world, this name will continue to live as long as South Korea remains a sustainable country"^3.

In particular, sh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trengthening the bonds of overseas Korean youth and young adults, and instilling in them Korean culture and history. Through this, K-Diaspora Global Solidarity can secure future talent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nhance national power, Yang explains^1.

Conclusion: Gathering the Power of the Global Korean Network

The potential of 7.5 million overseas Koreans, especially 2 million youth, is a valuable asset for the future of South Korea. K-Diaspora Global Solidarity, led by Yang Hyang-ja, is working to strengthen cultural identity, build a global talent network, and promote sustainable development of South Korea by connecting with them.

Under the conviction that "if diaspora are helped to feel patriotism and find their identity, they will do good things for their homeland"^5, K-Diaspora will be a beacon illuminating the future of South Korea by bringing together the potential of Koreans around the world.

Why not take an interest in and support K-Diaspora's activities? You can be part of the effort to achieve a greater leap forward by gathering the strength of our Korean people scattered around the world.


#KDiaspora #YangHyangja #OverseasKoreans #GlobalNetwork #KoreanIdentity #OverseasKoreansAgency #Birthright #KoreanCulture #TalentDevelopment #ScienceTechTalent #SemiconductorIndustry #YouthNetwork #InternationalExchange #PopulationCliffSolution #CulturalExchange #KoreanIdentity #DiasporaProject #GlobalTalent

#K디아스포라 #양향자 #재외동포 #글로벌네트워크 #한민족정체성 #재외동포청 #벌스라이트 #한국문화 #인재육성 #과학기술인재 #반도체산업 #청년네트워크 #국제교류 #인구절벽해결 #문화교류 #한인정체성 #디아스포라프로젝트 #글로벌인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