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트럼프 행정부가 추진하는 암호화폐 정책이 세계 금융 시장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화려한 가격 상승 이면에는 훨씬 더 근본적인 변화, 즉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혁신적 금융 도구의 부상이 숨어 있습니다. 오태민 교수는 이러한 변화를 정확히 포착하고, 트럼프의 암호화폐 정책이 단순한 시장 부양책이 아닌 미국의 지정학적 전략과 깊이 연결되어 있음을 설명합니다. 이 글에서는 비트코인의 전략 자산화,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중요성, 그리고 이러한 변화가 한국에 가져올 기회와 도전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트럼프 효과의 두 얼굴: 정치적 수사 vs 제도적 혁신
트럼프의 암호화폐 정책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두 가지 차원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나는 트럼프라는 인물의 발언과 행동이 시장 심리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치적 효과'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행정부가 추진하는 장기적인 '제도적 변화'입니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트럼프의 발언에 따른 시장 변동성에만 주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오태민 교수는 이것이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다고 지적합니다. "트럼프 효과라고 했을 때는 두 개를 우리가 생각해야 됩니다. 하나가 정치적인 효과, 하나가 제도적인 효과인데, 이제 진짜 더 큰 거, 빙산의 진짜 밑부분이 나오는 것이 제도적 변화입니다. 근데 지금 시장은 이 제도적 변화에 대한 이해력이 좀 떨어져요."
흥미로운 점은 트럼프 행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적 자산으로 명시한 행정명령을 발표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단순히 선거 기간 중 던진 발언과는 차원이 다른, 공식적인 국가 정책으로서의 위상을 갖습니다. "이번 서밋에서 이제 확실히 된 거는 비트코인은 중요한 자산이라는 게 있어서 행정 명령으로 명시를 한 거죠, 미국 대통령이."

애국주의와 결합한 암호화폐: 미국산 블록체인의 부상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접근법은 그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과 긴밀히 연결되어 있습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트럼프가 비트코인 외에도 XRP(리플), 솔라나, 카르다노(에이다) 등 미국 기반 암호화폐 프로젝트에 대해 언급했다는 사실입니다.
"XRP, 솔라나, 에이다의 특징은 뭐냐면, 공통점은 그 미국산이라는 거예요. 그래서 이제 크립토도 트럼프의 애국주의, 메이크 아메리카 그레이트 어게인, 그게 들어가 있다."
비트코인이 미국산은 아니지만, 중국이 상당량을 보유하고 있다는 인식 하에 미국의 전략적 자산으로 삼고자 하는 움직임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만약에 우리가 국가의 전략 자산이라고 생각을 하면 중국이 많이 갖고 있는 것을 미국이 훨씬 더 많이 갖고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비트코인을 좀 넣었다고 봐야 되겠네요."
비트코인 전략 자산화의 실체: 압류 자산의 재활용
트럼프 행정부의 비트코인 전략은, 추가 매입보다는 이미 압류한 비트코인을 전략적으로 보유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범죄 수사 등을 통해 압류한 약 20만 개의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를 매각하지 않고 유지하는 것만으로도 시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 파는 것만으로도 굉장한 하방을 지지할 수 있는, 그러니까 투자자 입장에서는 그런 구조가 완전 변했다라는 게 첫 번째일 거 같고... 여태까지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 팔아가지고 3억 달러 벌었다. 근데 사실은 안 팔아서 170억 달러 벌 수 있었는데, 그걸 잃어버린 거다."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비트코인 추가 매입에 대해 '세금 중립적인 방식'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금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비트코인을 확보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는 의미로, 시장의 기대와는 다른 방향으로 해석되어 일시적인 가격 하락을 초래했습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 트럼프 행정부의 진짜 관심사
오태민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의 핵심 관심사가 비트코인이 아닌 달러 스테이블 코인에 있다고 주장합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미국 달러에 가치를 고정한 가상자산으로, 블록체인에서 발행되며 1코인이 1달러와 동일한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사실 우리가 봐야 될 거는 비트코인이 아니라 트럼프 팀의 본심은 스테이블 코인이다라고 이제 말씀을 드렸는데, 그게 3월 7일에 실체가 드러났죠. 재무장관이 힘 있게 발언했고, 제 1에 그 화폐의 기축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팔아야 된다고."
트럼프 행정부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을 현재의 200배 규모로 키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새로운 법안을 추진 중입니다. 이 법안은 100억 달러 미만의 달러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주 정부의 허가만으로 가능하게 하여 경쟁을 촉진하고 시장을 확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0억 달러 미만의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그것을 달러나 미국 국채를 보유하는 한, 일대일로 보유하는 한, 미국 주정부들이 아무데서나 허락을 받으면 발행할 수 있어요."
달러 스테이블 코인과 미국 국채 문제
트럼프 행정부가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배경에는 미국의 국가 부채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은 막대한 국가 부채와 증가하는 국채 이자 부담에 직면해 있으며,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방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지금 이 시대를 읽는 가장 중요한 키워드를 하나 꼽으라 그러면 미국채예요. 트럼프 대통령이 젤렌스키한테 왜 저렇게 행동하느냐, 우리가 보기에는 뭐 히스토리 같고 뭐 평화를 원하는 거 같고 하지만 그런 것도 중요하지만 결국은 그것이 미국채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발행되기 위해서는 그만큼의 달러나 미국 국채를 담보로 보유해야 합니다. 이는 미국 국채 수요를 크게 늘려 장기 이자율 하락과 달러 강세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미국 국채를 한방에 해결하는 건 동맹들 찾아가지고 국채 좀 사 주세요라는 게 한계에 도달했어요... 이걸 트럼프 주변에 브레인들이 발견한 거예요. '야, 이걸 200배 키우자!' 그게 바로 트럼프 정부의 생각입니다."
이미 테더와 같은 주요 스테이블 코인 발행사는 상당량의 미국 국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국가급 규모에 이른다고 합니다. "테더 하나가 갖고 있는 미국 국채가 우리나라 정부가 갖고 있는 미국 국채와 비슷합니다. 국가급으로 지금 갖고 있는 거예요, 테더 하나가."
달러 스테이블 코인과 미중 패권 경쟁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미중 패권 경쟁에서 중요한 전략적 도구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중국은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인 디지털 위안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에 대응하여 비트코인과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전략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중국은 그동안 폭등장에서 주요 가상자산거래소 폐쇄, 채굴 금지 등의 부정적인 입장을 취해왔다. 올해 폭등장에선 비트코인 소유 금지 카드를 꺼내들 수 있다... 중국이 비트코인 소유를 금지하면 시장은 잠시 얼어붙을 수 있어 예의주시해야 한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각국 정부의 통화 정책에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국경 없는 거래를 가능하게 하는 '거래 가능한 양도 예금 통장'과 유사한 개념으로, 각국 중앙은행의 통화 관리 능력에 위협이 될 수 있습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라는 거는 블록체인 위에서 발행이 됩니다. 민팅이라고 했는데, 그거는 왜 달러 스테이블 하냐면 누군가가 약속을 해 주는 거예요. '내가 갖고 오면 내가 1달러로 해 줄게'라고 하는 거지만, 사실 그 약속만 빼면은 그냥 우리가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이나 똑같은 블록체인 증표예요. 누군가 약속해 주는 사람이 있기 때문에 이게 달러 스테이블 코인인 건데, 이게 비트코인하고는 실생활의 파고듦, 파급 효과가 엄청나게 셉니다."
한국의 기회: 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대의 전략적 포지셔닝
오태민 교수는 한국이 달러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한국은 스마트폰 제조 강국으로서 폰투폰 거래를 통해 은행을 거치지 않는 새로운 금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 폰을 만들어서 공급하는 3대 국가 중 하나입니다. 되게 자랑스러워해야 돼요... 이걸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뿌리는 회사가 우리나라 회사고, 우리나라 전체적인 순위는 2위인가 3위가 돼요. 20% 여기에 다 기록이 남죠. 이걸 통해서 가니까, 그리고 이게 하나가 이제 명실상부 은행이 되는 겁니다... 우리나라가 사회적으로 합의가 이루어지면, 제가 보기에 우리나라는 싱가포르 스위스를 합친 것보다 더 큰 금융 강국이 됩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 때문에."
이미 한국 무역 결제의 상당 부분(추정 10%)에서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기존 통화 시스템과 통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작년에 나온 한국 경제 신문이 정확한지 모르는데, 한국 경제 신문에 취재한 그 취재원인 공무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무역 결제 10%가 이미 달러 스테이블 코인입니다."
오태민 교수는 한국 정부가 원화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규제보다는 달러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허용하여 국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저의 방식은 전혀 반대입니다. 원화 스테이블 코인을 만드는 거 하라 그러고, 그 시장이 선택하는 거니까.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든 위안화 스테이블 코인이 아니라, 시장에서 위안화 스테이블 코인 선택 안 하고 유로 스테이블 코인을 선택을 안 해요. 그냥 달러죠. 유럽 사람들과 중국 사람들이. 우리도 그럴 거란 말이죠. 그러니까 괜히 딴 생각하지 말고 한국의 은행들과 IT 기업들이 달러 스테이블 코인 발행하도록 허용해 줘야 돼요. 그럼 우리가 이깁니다."
새로운 금융 시대를 위한 준비
트럼프 행정부의 암호화폐 정책, 특히 달러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접근은 단순한 시장 부양책이나 정치적 제스처를 넘어, 미국의 경제적 이익과 국가 전략을 깊이 고려한 제도적 변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미국의 기축통화 지위 강화, 국채 시장 안정화, 그리고 블록체인 산업 육성이라는 다각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우수한 IT 인프라와 높은 디지털 리터러시를 바탕으로 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잠재력이 있지만, 정부와 기업의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확산은 기존 금융 시스템과 각국 통화 정책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대비가 요구됩니다.
미국과 중국 간의 블록체인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은 이를 기회로 활용하여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새로운 위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시대가 열리고 있습니다. 우리는 이 변화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The New Financial Paradigm in the Trump Era: The Revolutionary Change Brought by Dollar Stablecoins
The cryptocurrency policy being pursu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 is presenting a new paradigm to the global financial market. Behind the spectacular price rise of Bitcoin lies a much more fundamental change: the rise of an innovative financial tool called 'dollar stablecoin'. Professor Oh Tae-min accurately captures this change and explains that Trump's cryptocurrency policy is not simply a market stimulus but deeply connected to America's geopolitical strategy. In this article, we will take an in-depth look at Bitcoin's strategic asset status, the importance of dollar stablecoins, and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hese changes will bring to Korea.
The Two Faces of Trump Effect: Political Rhetoric vs Institutional Innovation
The impact of Trump's cryptocurrency policy on the market needs to be understood in two dimensions. One is the 'political effect' where Trump's statements and actions immediately affect market psychology, and the other is the long-term 'institutional change' being pursued by his administration.
Most investors tend to focus only on market volatility following Trump's statements. However, Professor Oh points out that this is just the tip of the iceberg. "When we talk about the Trump effect, we need to think about two things. One is the political effect, and one is the institutional effect, and now the really bigger thing, the real bottom of the iceberg, is institutional change. But the market now lacks understanding of this institutional change."
Interestingly, the Trump administration has issued an executive order designating Bitcoin as a strategic asset. This has a different dimension from a mere statement made during the election period, as it has the status of an official national policy. "What has been confirmed at this summit is that Bitcoin is an important asset, so the US President has specified it by executive order."
Cryptocurrency Combined with Patriotism: The Rise of American Blockchain
The Trump administration's approach to cryptocurrency is closely linked to his 'America First' policy.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Trump mentioned not only Bitcoin but also US-based cryptocurrency projects such as XRP (Ripple), Solana, and Cardano (ADA).
"The characteristic of XRP, Solana, ADA, the common point, is that they are American-made. So now crypto also includes Trump's patriotism, Make America Great Again."
While Bitcoin is not American-made, there is a strengthening movement to make it a strategic asset of the United States, under the recognition that China holds a considerable amount. "If we think of it as a national strategic asset, we should put in Bitcoin because America must have much more than China has."
The Reality of Bitcoin's Strategic Asset Status: Recycling Seized Assets
The Trump administration's Bitcoin strategy is moving in the direction of strategically holding Bitcoin that has already been seized, rather than making additional purchases. The US government is estimated to hold about 200,000 Bitcoins seized through criminal investigations, etc., and just maintaining these without selling them ca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rket.
"Just not selling can provide tremendous downside support. So from an investor's perspective, the first thing is that the structure has completely changed... So far, the US government has made $300 million by selling Bitcoin. But in reality, they could have made $17 billion by not selling, and they've lost that."
Additionally, the Trump administration is seeking a 'tax-neutral way' for additional Bitcoin purchases. This means finding a way to secure Bitcoin without directly using taxes, which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market expectations, resulting in a temporary price decline.
Dollar Stablecoins: The Trump Administration's Real Interest
Professor Oh argues that the Trump administration's core interest lies in dollar stablecoins, not Bitcoin. Dollar stablecoins are virtual assets fixed to the value of the US dollar, issued on blockchain, and designed to maintain a value of 1 coin equal to 1 dollar.
"In fact, what we need to look at is not Bitcoin, but the Trump team's real intention is stablecoin, and that was revealed on March 7. The Treasury Secretary spoke powerfully, and said that we must sell dollar stablecoins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dollar as the reserve currency."
The Trump administration aims to grow the dollar stablecoin market to 200 times its current size and is pushing for new legislation to this end. This bill is expected to promote competition and expand the market by making it possible to issue dollar stablecoins under $1 billion with just state government approval.
"Dollar stablecoins under $1 billion, as long as they hold dollars or US Treasuries, one-to-one, can be issued with permission from any US state government."
Dollar Stablecoins and the US Treasury Bond Problem
Behind the Trump administration's active promotion of dollar stablecoins is the US national debt problem. The United States is facing massive national debt and increasing interest burden on Treasury bonds, and dollar stablecoins are emerging as a new solution to this problem.
"If you had to pick one most important keyword to read this era, it would be US Treasuries. Why does President Trump act that way toward Zelensky? From our perspective, it seems like history and he seems to want peace, but while those are important too, ultimately it's about US Treasuries."
For dollar stablecoins to be issued, they must hold dollars or US Treasury bonds as collateral in equal amounts. This has the effect of greatly increasing demand for US Treasury bonds, leading to lower long-term interest rates and a stronger dollar.
"Solving US Treasuries in one go by going to allies and saying 'please buy some Treasuries' has reached its limit... This is what the brains around Trump discovered. 'Hey, let's make this 200 times bigger!' That's the Trump government's thinking."
Major stablecoin issuers such as Tether already hold significant amounts of US Treasury bonds, reaching national-level scale. "The amount of US Treasuries that Tether alone holds is similar to what our country's government holds. They're holding at a national level, just Tether alone."
Dollar Stablecoins and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Dollar stablecoin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strategic tool in the US-China hegemony competition. China is pushing for digital yuan, a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CBDC), and the United States is showing signs of strategically using Bitcoin and dollar stablecoins in response.
"China has taken a negative stance so far, shutting down major virtual asset exchanges, banning mining, etc. In this year's bull market, they might pull out the card of banning Bitcoin ownership... If China bans Bitcoin ownership, the market could freeze temporarily, so we should pay close attention."
Dollar stablecoins can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onetary policies of countries. This is a concept similar to a 'transferable deposit account' that enables borderless transactions, which can pose a threat to the ability of central banks to manage their currencies.
"Dollar stablecoins are issued on blockchain. They call it minting, and why it's a dollar stablecoin is because someone makes a promise. They say 'if you bring it to me, I'll make it $1,' but in fact, if you remove that promise, it's just the same blockchain token as Ethereum or Bitcoin. It's a dollar stablecoin because there's someone who makes a promise, and it has a much bigger penetration and ripple effect on real life than Bitcoin."
Korea's Opportunity: Strategic Positioning in the Dollar Stablecoin Era
Professor Oh argues that Korea has the potential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ollar stablecoin ecosystem. As a smartphone manufacturing powerhouse, Korea is in a position to build a new financial system through phone-to-phone transactions without going through banks.
"Our country is one of the top three countries supplying phones to the world. We should be really proud of that... The company that distributes this the most in the world is a Korean company, and our country's overall ranking is second or third. 20% of the records are here. It goes through this, and this is now becoming a bank in name and reality... If our country reaches a social consensus, in my view, our country will become a financial powerhouse bigger than Singapore and Switzerland combined, because of dollar stablecoins."
Already, a significant portion (estimated 10%) of Korean trade settlements are using dollar stablecoins, which can affect existing currency systems and statistics.
"According to a public official who was interviewed by the Korea Economic Daily last year, I don't know if it's accurate, but 10% of our country's trade settlements are already dollar stablecoins."
Professor Oh argues that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allowing the issuance of dollar stablecoins rather than regulating won stablecoins.
"My approach is completely opposite. Do make won stablecoins, and let the market choose. Whether it's dollar stablecoins or yuan stablecoins, the market doesn't choose yuan stablecoins or euro stablecoins. It's just dollars. Europeans and Chinese people. We'll do the same. So don't think otherwise and allow Korean banks and IT companies to issue dollar stablecoins. Then we win."
Preparing for a New Financial Era
The Trump administration's cryptocurrency policy, especially its approach to dollar stablecoins, goes beyond a simple market stimulus or political gesture, aiming for institutional changes that deeply consider America's economic interests and national strategy. Dollar stablecoins are emerging as a key means to achieve multiple goals: strengthening the dollar's reserve currency status, stabilizing the Treasury market, and fostering the blockchain industry.
Korea has the potential to play a leading role in the dollar stablecoin market based on its excellent IT infrastructure and high digital literacy, but active response from the government and businesses is needed. The spread of dollar stablecoins can bring significant changes to existing financial systems and countries' monetary policies, requiring in-depth understanding and preparation.
As the blockchain technology hegemony competitio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tensifies, Korea can use this as an opportunity to establish a new position in the global financial market. The era of dollar stablecoins is opening. How can we utilize this change?
#암호화폐 #비트코인 #스테이블코인 #달러스테이블코인 #트럼프 #오태민 #미중경쟁 #블록체인 #금융혁신 #디지털금융 #탈중앙화금융 #DeFi #가상자산 #디지털자산 #테더 #국채 #달러패권 #한국경제 #금융기술 #핀테크
'이슈 >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경제 정책의 재탄생: 미국 금융 시장의 변동성과 그 속내 (1) | 2025.03.15 |
---|---|
AI와 경제의 미래: 레이 달리오가 말하는 기회와 위기 (1) | 2025.03.15 |
트럼프의 암호화폐 전략, 비트코인과 달러 스테이블 코인이 바꿀 미래는? (1) | 2025.03.15 |
레이 달리오가 말하는 글로벌 경제의 다섯 가지 핵심 동력 (1) | 2025.03.15 |
"상법 개정안 통과, 기업과 주주 간 새로운 균형점 찾기" (1)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