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알고 보면 더 재미있는 식목일, 공휴일이었다가 아니게 된 사연

by Agent 2025. 4. 3.

오늘은 4월 5일 식목일입니다. 매년 이맘때면 가족들과 함께 나무를 심으러 가던 추억이 있으신가요? 그런데 문득 "식목일이 공휴일이었던 것 같은데..."라는 생각이 드신다면, 여러분의 기억이 틀린 것이 아닙니다. 식목일은 한때 공휴일이었다가 지금은 아닌, 특별한 사연을 가진 날입니다. 오늘은 식목일과 공휴일의 관계, 그리고 그 흥미로운 역사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과거 산불 최다 발생은 식목일"…전국 식목행사 취소 잇따라
시든 꽃과 그을린 나무 지난달 28일 울산 대운산 일대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로 나무가 검게 타고 진달래가 시들어 있는 모습 [연합뉴스 자료사진]

식목일은 공휴일일까요? 아닐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현재 식목일은 공휴일이 아닙니다. 매년 4월 5일은 나무를 심고 자연의 소중함을 되새기는 법정기념일이지만, 2006년부터는 공휴일에서 제외되었습니다^2. 그래서 오늘 아침에도 평소와 같이 출근하셨을 것입니다.

하지만 흥미로운 점은 식목일이 과거에는 공휴일이었다는 사실입니다. 식목일은 공휴일로 지정되었다가 폐지되고, 다시 지정되었다가 폐지되는 꽤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7.

식목일과 공휴일의 롤러코스터 같은 역사

식목일의 공휴일 지정과 폐지 과정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보입니다:

  • 1948년: 식목일 제정^7
  • 1949년: '관공서 공휴일에 관한 건'에 의해 공휴일로 지정^7
  • 1960년: 3월 15일을 '사방의 날'로 지정하면서 공휴일에서 제외^7
  • 1961년: 다시 공휴일로 복귀^2
  • 2006년: 주 5일 근무제 확대에 따라 공휴일에서 다시 제외^2

현재는 법정기념일로만 남아 있으며, 달력에도 '기념일'로만 표기되고 있습니다^2.

왜 4월 5일이 식목일이 되었을까?

식목일이 4월 5일로 정해진 데에는 여러 의미 있는 이유가 있습니다:

  1. 역사적 의미: 조선 성종이 동대문 밖 선농단에서 직접 밭을 일구고 나무를 심었던 날입니다^5.
  2. 기후적 적합성: 4월 초는 봄이 시작되는 시기로, 나무를 심기에 가장 적합한 기후 조건을 갖추고 있습니다^4.
  3. 직접적인 계기: 1910년 4월 5일 순종황제가 친경제를 거행하며 직접 나무를 심었던 것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습니다^7.

식목일의 진정한 의미와 중요성

식목일은 단순히 나무를 심는 날이 아니라, 우리의 아픈 역사와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담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이후 우리나라 산림이 심각하게 황폐화되었을 때, 외국 전문가들은 "한국의 산림은 구제불능"이라는 평가를 내릴 정도였습니다^7. 이러한 위기 상황에서 산림녹화사업을 적극 추진하며 국민들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 식목일이 국경일로 지정되었습니다.

그 결과 불과 반세기 만에 지금의 울창한 녹색 산림을 만들어낼 수 있었습니다^7. 이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없는 성공적인 산림복구 사례로 꼽힙니다.

2025년, 식목일에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2025년 4월 5일 식목일이 다가옵니다. 비록 공휴일은 아니지만, 의미 있는 활동에 참여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지역별 나무심기 행사에 참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025년에도 많은 지자체에서 주민 참여형 식목 행사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서초구는 '서초의 식목일은 365일'이라는 슬로건으로 나무심기와 가드닝 행사를 개최했습니다^3. 또한 노원구에서는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나무심기 행사를 계획했습니다^8.

가정에서도 작은 화분 하나를 키우는 것으로 식목일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습니다. 반려식물을 키우며 자연과 더 가까워지는 기회로 삼아보세요.

2025년 공휴일 참고하세요!

2025년 식목일은 공휴일이 아니지만, 다른 공휴일들은 잘 활용하면 좋겠죠? 2025년에는 설날 연휴와 추석 연휴 등 명절을 포함해 총 15개의 법정공휴일이 있습니다^1. 주말 휴일 104일을 합치면 총 119일 동안 휴일을 보낼 수 있어요!

특히 4월에는 식목일은 공휴일이 아니지만, 4월 14일 부처님 오신 날이 공휴일로 지정되어 있으니 참고하세요^6.

식목일, 작은 실천으로 큰 변화를

비록 공휴일은 아니지만, 식목일의 의미를 되새기며 작은 실천으로 환경 보호에 동참해보면 어떨까요? 나무 한 그루가 평생 동안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양은 정말 놀랍습니다. 우리의 작은 관심과 행동이 미래 세대에게 더 푸른 지구를 선물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은 올해 식목일에 어떤 계획을 갖고 계신가요? 댓글로 여러분의 식목일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식목일 #공휴일 #환경보호 #나무심기 #2025년공휴일 #법정기념일 #식목일역사 #산림보호 #주5일근무제 #대체휴일 #법정공휴일 #식목일행사 #환경보호캠페인 #친환경생활 #탄소중립


Arbor Day in Korea: The Interesting Story of How It Lost Its Public Holiday Status

Today is April 5th, Arbor Day in Korea. Do you have memories of planting trees with your family around this time every year? If you suddenly think, "Wasn't Arbor Day a public holiday before?", your memory isn't wrong. Arbor Day has a special story of once being a public holiday but not anymore. Today, let's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rbor Day and public holidays, and its fascinating history.

Is Arbor Day a Public Holiday or Not?

To answer directly, Arbor Day is currently not a public holiday. Every April 5th is a statutory commemoration day for planting trees and reflecting on the importance of nature, but it has been excluded from public holidays since 2006^2. That's why you probably went to work this morning as usual.

However, what's interesting is that Arbor Day was once a public holiday in the past. Arbor Day has a rather complex history of being designated as a public holiday, then abolished, designated again, and abolished again^7.

The Roller Coaster History of Arbor Day as a Public Holiday

The process of designating and abolishing Arbor Day as a public holiday shows the following timeline:

  • 1948: Establishment of Arbor Day^7
  • 1949: Designated as a public holiday according to the 'Government Office Holidays Act'^7
  • 1960: Excluded from public holidays when March 15th was designated as 'Erosion Control Day'^7
  • 1961: Reinstated as a public holiday^2
  • 2006: Excluded from public holidays again due to the expansion of the five-day workweek system^2

Currently, it remains only as a statutory commemoration day and is marked only as a 'memorial day' on calendars^2.

Why Was April 5th Chosen as Arbor Day?

There are several meaningful reasons why April 5th became Arbor Day:

  1. Historical Significance: It was the day when King Seongjong of Joseon personally plowed fields and planted trees outside Dongdaemun^5.
  2. Climate Suitability: Early April marks the beginning of spring, providing the most suitable climate conditions for planting trees^4.
  3. Direct Cause: On April 5, 1910, Emperor Sunjong held a royal farming ceremony and personally planted trees, which became a significant occasion^7.

The True Meaning and Importance of Arbor Day

Arbor Day is not simply a day for planting trees, but carries the weight of our painful history and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he Korean War, Korea's forests were severely devastated, to the point where foreign experts assessed that "Korean forests are beyond salvation"^7. In this crisis, Arbor Day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holiday to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while actively promoting reforestation projects.

As a result, within just half a century, we were able to create today's lush green forests^7. This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successful forest restoration cases in the world.

What Can We Do on Arbor Day in 2025?

Arbor Day is approaching on April 5, 2025. Although it's not a public holiday, how about participating in meaningful activities?

Participating in local tree planting events is a good option. Many local governments are planning to host community-involved planting events in 2025 as well. Seocho District held tree planting and gardening events under the slogan 'Seocho's Arbor Day is 365 Days'^3. Nowon District also planned tree planting events with local residents^8.

Even at home, growing a small pot can help you reflect on the meaning of Arbor Day. Take this opportunity to get closer to nature by raising companion plants.

Note These Public Holidays in 2025!

While Arbor Day in 2025 is not a public holiday, it would be good to utilize other public holidays effectively! In 2025, there are a total of 15 statutory public holidays including Lunar New Year and Chuseok holidays^1. Combined with 104 weekend holidays, you can enjoy a total of 119 holiday days!

Especially in April, although Arbor Day is not a public holiday, Buddha's Birthday on April 14 is designated as a public holiday, so please keep that in mind^6.

Arbor Day: Small Actions for Big Changes

Although it's not a public holiday, how about participating in environmental protection through small actions while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Arbor Day? The amount of oxygen produced and carbon dioxide absorbed by a single tree throughout its lifetime is truly amazing. Our small attention and actions can gift a greener Earth to future generations.

What plans do you have for Arbor Day this year? Please share your Arbor Day stories in the comments!

#ArborDay #PublicHoliday #EnvironmentalProtection #TreePlanting #2025PublicHolidays #StatutoryMemorialDay #ArborDayHistory #ForestProtection #FiveDayWorkweek #AlternativeHoliday #StatutoryPublicHoliday #ArborDayEvent #EnvironmentalCampaign #EcoFriendlyLife #CarbonNeutrality

#식목일 #공휴일 #환경보호 #나무심기 #2025년공휴일 #법정기념일 #식목일역사 #산림보호 #주5일근무제 #대체휴일 #법정공휴일 #식목일행사 #환경보호캠페인 #친환경생활 #탄소중립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