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AI

'AI Limit' 완전 가이드 : AI와 인류의 경계를 넘나드는 소울라이크의 신작

by Agent 2025. 3. 31.

포스트-아포칼립스 세계관, 독특한 전투 시스템, 그리고 인간과 AI의 공존에 대한 깊은 질문. SenseGames가 개발한 'AI Limit'은 단순한 소울라이크 게임을 넘어 몰입감 넘치는 세계와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제공합니다. 2025년 3월 27일에 PS5와 PC로 출시된 이 게임은 $35라는 합리적인 가격에도 불구하고 기대 이상의 가치를 제공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과연 'AI Limit'은 소울라이크 장르에 어떤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을까요?

황폐화된 세계의 마지막 희망

헤이븐스웰, 마지막 인류의 요새

'AI Limit'의 세계는 여러 전쟁과 재앙 이후 황폐화된 포스트-아포칼립스 환경입니다. 게임에서 플레이어는 합성 소녀 '아리사(Arrisa)'를 조종하게 됩니다7. 그녀는 '블레이더(Blader)'라 불리는 존재로, 인류의 마지막 보루인 '헤이븐스웰(Havenswell)' 도시를 보호하는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7.

헤이븐스웰은 이름과 달리 진정한 안식처가 아닙니다. 위험한 강철 복도와 지하 하수도, 절망에 빠진 이들을 조종하는 종교 집단, 그리고 성벽 너머에 도사리는 공포는 이 도시가 결코 안전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줍니다7.

 

'머드(Mud)'의 신비

게임 세계는 이제 '머드(Mud)'라는 물질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 물질은 인류의 끝과 시작 모두를 상징하는데, 외부 풍경을 흡수하면서도 블레이더에게는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을 제공합니다7. 아리사는 생존을 위해 이 머드를 섭취해야 합니다.

광활한 황무지를 탐험하면서 플레이어는 햇빛이 내리쬐는 사막과 무너져 가는 도시들을 마주하게 되는데, 이는 '니어: 오토마타'와 '블레이드 러너 2049'를 연상시키는 비주얼을 제공합니다7. SenseGames는 환경에서 고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훌륭하게 구현했습니다.

혁신적인 전투 시스템

스태미나 없는 소울라이크

'AI Limit'의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전통적인 소울라이크 게임과 달리 스태미나 바가 없다는 점입니다69. 이는 플레이어가 원하는 만큼 회피하고 공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여전히 타이밍은 매우 중요합니다6.

대신 게임은 '싱크 레이트(Sync Rate)'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 바는 플레이어의 전투 기술에 따라 채워지며, 공격과 회피의 시너지를 보여줍니다76. 싱크 바는 공격을 피하고, 콤보를 수행하고, 적을 처치함으로써 채워지지만, 전투에서 벗어나거나 피해를 입거나 주문을 사용하면 감소합니다7.

 

공격적인 플레이를 유도하는 시스템

싱크 바가 고갈되면 '비동기화' 상태가 되어 공격력이 약해집니다. 따라서 'AI Limit'은 피하고 도망치기보다는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채택하도록 유도합니다7. 이는 전통적인 소울라이크 게임의 신중하고 방어적인 플레이와는 차별화된 접근 방식입니다6.

이 독특한 메커니즘은 고위험-고수익 전략을 수립하게 만들어 전투에 새로운 차원의 전략적 깊이를 더합니다. 특히 보스 전투에서 AI Limit 기능은 보스의 공격 패턴을 이해한다면 지속적으로 교전할 수 있게 해줍니다2.

도전과 접근성의 균형

소울라이크 장르의 새로운 접근

'AI Limit'은 도전적이면서도 접근 가능한 게임 경험을 제공합니다6. 스태미나 바가 없어 무한정 회피와 공격이 가능하지만, 여전히 타이밍은 중요합니다6. 플레이어는 부주의하게 움직이면 쉽게 적의 공격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많은 보스들이 범위 공격을 사용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6.

 

의도적인 난이도 변화

게임 중반부에 난이도가 급격히 상승하는데, 이는 단순히 진행을 방해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내러티브와 세계관 구축의 일부로 의도적으로 설계되었습니다6. 이 부분에서 플레이어는 일종의 '쉐도우 오브 더 에르트리의 메스머 더 임페일러'와 같은 적을 만나게 됩니다6.

 

죽음 메커니즘의 혁신

'AI Limit'은 독특한 죽음 메커니즘을 도입했습니다. 일반적인 소울라이크 게임에서는 죽은 후 떨어뜨린 자원을 한 번 회수할 기회가 주어지지만, 'AI Limit'에서는 즉시 일정 비율의 '크리스탈'(게임 내 통화)을 영구적으로 잃게 됩니다6.

각 '뉴클리어스(Nucleus)'는 보존율과 흡수율을 가지고 있어, 죽을 때 유지되는 크리스탈의 비율과 적으로부터 얻는 크리스탈의 비율을 결정합니다. 이는 기존 죽음 메커니즘에서 벗어나 고위험-고수익 시스템을 도입한 혁신적인 방식입니다6.

장비와 빌드 다양성

무기와 장비 시스템

'AI Limit'에서 플레이어는 다양한 장비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뉴클리어스 외에도 두 개의 무기, 머리 장식, 갑옷, 주문, 그리고 여섯 개의 소모품을 장착할 수 있습니다6. 각 무기는 특정 속성에 따라 데미지가 증가하며, 제작 재료와 크리스탈을 사용하여 업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6.

빌드 유연성의 한계

'싱크 레이트' 시스템의 주요 목적은 더 공격적인 플레이를 장려하는 것이지만, 이로 인해 빌드 다양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6. 일반적으로 소울라이크 게임은 측정된 접근 방식을 강조하여 다양한 빌드 가능성을 허용하지만, 'AI Limit'에서는 이러한 특성이 덜 두드러집니다6.

싱크 레이트 시스템은 순수 근접 빌드나 근접-주문 하이브리드 빌드를 사용할 때 가장 효과적입니다. 따라서 순수 주문 빌드를 원하는 플레이어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싱크 레이트는 주문이나 무기 기술을 사용하는 데 필요하며, 근접 공격과 특정 소모품만이 싱크 레이트를 다시 채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6.

시각적 경험과 기술적 측면

애니메이션과 시각적 스타일

'AI Limit'의 시각적 경험은 전반적으로 불균형합니다. 아리사와 NPC들은 전형적인 애니메이션 스타일 아트 디렉션에 잘 어울리지만, 비전투 애니메이션은 불쾌한 골짜기(uncanny valley)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습니다10. 특히 모든 컷신에서 경직된 얼굴 애니메이션이 두드러집니다.

기술적 문제점

일부 리뷰에서는 게임의 버그와 충돌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11. 어떤 플레이어들은 게임 충돌, 환경에 갇힘, 보스 전투 중 바닥으로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경험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문제는 때로 플레이어의 진행을 방해하고 좌절감을 줄 수 있습니다11.

평가와 평판

혼합된 리뷰

'AI Limit'은 비평가들로부터 혼합된 평가를 받았습니다. OpenCritic에서 평균 점수는 약 74-76으로, 리뷰의 약 64-67%가 게임을 추천했습니다15. 점수는 5/10에서 9.5/10까지 다양합니다.

강점

게임은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 탁월한 전투 시스템과 파리 메커니즘3
  • 매력적인 보스 디자인과 다양한 무브셋8
  • 깊이 있는 세계관 구축과 분위기8
  • 접근성과 도전성의 균형6
  • $35라는 합리적인 가격대에 비해 풍부한 콘텐츠5

약점

반면,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 기술적 문제와 버그11
  • 제한된 빌드 다양성6
  • 일부 평이한 초기 레벨 디자인1
  • 일차원적인, 혹은 매력 없는 주인공 캐릭터7
  • 제한된 내러티브 깊이7

결론: AI Limit은 누구를 위한 게임인가?

'AI Limit'은 소울라이크 장르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온 게임입니다. 전통적인 스태미나 바를 제거하고 '싱크 레이트'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더 공격적인 플레이 스타일을 장려하고, 포스트-아포칼립스 세계관과 AI 테마를 통해 흥미로운 서사적 배경을 제공합니다.

비록 기술적 문제와 일부 디자인상의 한계가 있지만, $35라는 가격에 비해 상당한 가치를 제공합니다. 특히 소울라이크 장르를 좋아하면서도 더 공격적인 전투 스타일과 접근성 있는 도전을 찾는 플레이어들에게 추천할 만한 게임입니다.

'AI Limit'은 인간과 AI의 경계, 포스트-아포칼립스 세계에서의 생존, 그리고 인류의 마지막 희망에 대한 흥미로운 질문을 던집니다. 여러분은 블레이더로서 헤이븐스웰을 구할 준비가 되어 있나요?

#게임리뷰 #AILimit #소울라이크 #포스트아포칼립스 #액션RPG #게임추천 #PS5게임 #PCgame #인공지능게임 #SenseGames #블레이더 #싱크레이트 #게임플레이 #보스전투 #게임메커니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