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AI

“AI는 없는 인간만의 뭐가 있다? 그런 말 하는 사람 다 밀려났다” – 장강명 작가 인터뷰

by Agent 2025. 3. 16.
#장강명 #AI #알파고 #바둑 #창의성 #인간성 #기술과가치 #미래사회 #인공지능 #문학 #예술 #사회변화 #교육 #노동시장
 
 
 
 

인공지능(AI)의 급격한 발전은 바둑계를 넘어 창의성과 인간성의 본질을 흔들고 있습니다. 장강명 작가는 최근 인터뷰에서 알파고 이후 바둑계의 변화를 통해, AI가 인간 고유의 영역이라 여겨졌던 창의적 사고와 직관을 넘어서는 시대를 예고했습니다. 그의 말은 단순히 바둑에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반에 걸친 변화와 도전에 대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알파고 이후, 바둑계의 혁명적 변화

2016년 알파고와 이세돌 9단의 대국은 바둑계뿐 아니라 전 세계에 충격을 안겼습니다. 장강명 작가는 이를 "바둑이 예술이라 불렸던 이유는 인간의 깊은 사고력을 요구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AI가 인간을 앞선 첫 번째 영역이 바로 바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알파고 이후 프로 기사들은 기존의 정석을 폐기하고 AI 포석을 연구하며 이를 따라가는 것이 필수가 되었습니다. 과거에는 기사 개인의 ‘기풍’이 중요했지만, 이제는 AI 추천 수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인간 고유의 개성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AI 시대, 인간만의 특별함은 존재하는가?

장 작가는 인간만의 창의성과 직관이 AI로 인해 무너질 가능성을 언급하며, "창의성이 인간만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인정해야 할 때가 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예술 창작, 의료, 법률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인간 고유의 가치에 대한 믿음이 흔들릴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그는 문학에서도 AI가 스토리텔링을 하게 되면 기존 개념이 바뀌고, 새로운 예술적 방향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예를 들어, 독자가 AI를 통해 원하는 방식으로 결말을 수정하거나 고전 문학을 재구성하는 시대가 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기술과 가치: 무엇이 우선인가?

장강명 작가는 기술 발전 이전에 우리가 추구해야 할 가치를 먼저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그는 "기술이 가치에 영향을 주게 만들지 말고, 가치가 기술을 이끌게 만들어야 한다"며 현재 이러한 주장이 잘 받아들여지지 않는 현실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AI 시대에는 단순 반복 업무가 대체될 가능성이 높으며, 기획력, 융합적 사고, 소통 능력 등 인간만이 발휘할 수 있는 역량이 더 중요해질 것입니다. 또한, 새로운 시대에는 이름 없는 가치를 정의하고 사회적으로 합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장강명 #AI #알파고 #바둑 #창의성 #인간성 #기술과가치 #미래사회 #인공지능 #문학 #예술 #사회변화 #교육 #노동시장

우리가 고민해야 할 질문들

장강명 작가의 인터뷰는 단순한 기술적 논의를 넘어 우리 사회가 AI 시대를 어떻게 맞이할 것인지에 대한 심오한 질문을 던집니다:

  • AI 시대에 새롭게 정의해야 할 인간적인 가치는 무엇인가?
  • 기술 발전을 인간 중심으로 이끌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은 무엇인가?
  • AI로 인해 변화하는 노동 시장과 교육 시스템에 어떻게 적응할 것인가?

AI는 이미 우리의 삶 깊숙이 들어왔습니다. 이제는 기술 그 자체보다도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어떤 가치를 지켜나갈 것인지에 대한 사회적 논의와 실천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입니다.

 

#장강명 #AI #알파고 #바둑 #창의성 #인간성 #기술과가치 #미래사회 #인공지능 #문학 #예술 #사회변화 #교육 #노동시장

#장강명 #AI #알파고 #바둑 #창의성 #인간성 #기술과가치 #미래사회 #인공지능 #문학 #예술 #사회변화 #교육 #노동시장

“Is There Something Only Humans Can Do? Those Who Say So Are Being Left Behind” – Jang Kang Myung’s Interview

The rapid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shaking the foundations of creativity and humanity beyond the boundaries of Go. In a recent interview, author Jang Kang Myung reflected on the transformations in the Go world post-AlphaGo and predicted a future where AI surpasses human intuition and creativity across various domains. His insights extend far beyond Go, offering profound perspectives on societal changes and challenges.

The Revolutionary Changes in Go After AlphaGo

The 2016 match between AlphaGo and Lee Sedol was a groundbreaking moment not only for the Go community but also for the world. Jang described Go as an art form requiring deep human thought and emphasized that it was the first domain where AI outperformed humans.

Since AlphaGo’s debut, professional players have abandoned traditional strategies and embraced AI-based moves as a necessity. The individuality once celebrated in players’ styles is now overshadowed by evaluations based on AI-recommended moves.

#JangKangMyung #AI #AlphaGo #GoGame #Creativity #Humanity #TechnologyAndValues #FutureSociety #ArtificialIntelligence #Literature #Art #SocialChange #Education #LaborMarket

Does Human Uniqueness Still Exist in the Age of AI?

Jang raised concerns about the erosion of human creativity and intuition due to AI’s dominance. He stated that it might soon be necessary to acknowledge that creativity is not exclusive to humans. This sentiment extends to fields like artistic creation, medicine, and law, where the belief in human uniqueness could be challenged.

He also predicted that literature would undergo a paradigm shift as AI enters storytelling. Readers might use AI to modify endings or reinterpret classic works according to their preferences—a development that could transform literature into a personalized experience.

Technology vs. Values: What Should Come First?

Jang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defining values before advancing technology. He argued that “technology should not dictate values; rather, values should guide technology,” expressing regret that this perspective is not widely accepted today.

In the age of AI, repetitive tasks are likely to be replaced by machines, making skills like planning, interdisciplinary thinking, communication, and resilience more critical than ever. Moreover, he stressed the need for society to define and agree upon unnamed values essential for navigating this new era.

Questions We Must Address

Jang’s interview transcends technical discussions to pose profound questions about how society should embrace the age of AI:

  • What are the human values we must redefine in the age of AI?
  • How can we ensure technology aligns with human-centric values?
  • How should we adapt to changes in labor markets and education systems brought about by AI?

AI has already permeated our lives deeply. Now is the time for meaningful discussions and actions to ensure technology serves humanity positively without compromising essential values.

 

#JangKangMyung #AI #AlphaGo #GoGame #Creativity #Humanity #TechnologyAndValues #FutureSociety #ArtificialIntelligence #Literature #Art #SocialChange #Education #LaborMark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