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슈

충격적 진실: 감사원이 밝힌 문재인 정부의 102회 통계 조작 실태

by Agent 2025. 4. 17.

감사원이 2025년 4월 17일, 문재인 정부 시절의 주요 국가 통계 조작에 관한 충격적인 최종 감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약 911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보고서에는 청와대와 국토교통부가 한국부동산원과 통계청에 압력을 가해 부동산, 소득, 고용 관련 통계를 체계적으로 왜곡한 증거가 상세히 담겨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4년간 102회에 달하는 통계 조작의 실체와 그 의미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서울 아파트
서울 아파트

부동산 통계 조작의 충격적 실태

감사원의 조사 결과, 문재인 정부 청와대와 국토교통부는 2018년 1월부터 2021년 10월까지 총 102회에 걸쳐 한국부동산원의 주택 통계 작성 과정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는 매매가격 통계 86건과 전세 통계 16건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조직적인 통계 조작 메커니즘

통계 조작은 매우 체계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청와대와 국토부는 통계법을 위반하여 한국부동산원에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통계를 사전에 제공하도록 요구했습니다. 통계법 제27조에 따르면 정당한 사유가 없는 한 작성 중이거나 작성 완료된 통계는 공표 전에 외부에 제공하거나 누설할 수 없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고 지속적으로 사전 제공을 요구했습니다^4.

더욱 충격적인 것은 부동산원이 12차례나 통계 사전 제공 중단을 요청했지만, 청와대와 국토부가 이를 모두 거절했다는 점입니다^3. 사전에 받은 통계 수치가 마음에 들지 않으면 부동산원에 집값 상승률을 낮추도록 압박했고, 이 과정에서 예산 삭감이나 인사 조치 등을 언급하며 협박까지 했습니다^15.

ChatGPT 이미지 충격적 진실: 감사원이 밝힌 문재인 정부의 102회 통계 조작 실태
ChatGPT 이미지 충격적 진실: 감사원이 밝힌 문재인 정부의 102회 통계 조작 실태

대표적인 통계 조작 사례

2018년 1월, 서울 양천구의 집값 상승률이 1.32%에서 0.89%로 조작되어 발표된 정황이 확인되었습니다^5. 또한 2018년 8월 서울 지역 주중치(예측치)가 0.67%로 보고되자, 청와대는 국토부와 부동산원에 연락해 8·27 대책 효과를 반영해 수치를 낮추도록 지시했습니다. 결국 속보치는 0.47%, 확정치는 0.45%로 하향 조정되어 발표되었습니다^8.

2019년 6월에는 31주간 하락세를 보이던 서울 지역 변동률이 0.00%(보합)으로 전환되자, 국토부는 부동산원에 하락세를 유지하도록 요구했습니다. 이에 부동산원은 강남지사 등에서 표본가격을 43회에 걸쳐 총 1억 1천만 원만큼 하향 조정하여 변동률을 -0.01%로 발표했습니다^8.

부동산원 내부 단체 대화방에는 "국토부에서 낮추란다", "대놓고 조작하네요"라는 대화가 오갔으며, 청와대 행정관들 사이에서도 "다음 주에는 '마사지'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등의 대화가 오간 것으로 밝혀졌습니다^4.

소득과 고용 통계의 왜곡

부동산뿐만 아니라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정책인 '소득주도성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소득 및 고용 통계도 조작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소득 통계 조작

통계청은 2017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에서 2010년 이후 처음으로 가계소득이 감소(-0.6%)한 것으로 나타나자, 상대적으로 소득이 높은 '취업자 있는 가구'의 소득을 더 많이 반영하는 방식으로 결과를 왜곡했습니다. 이로 인해 감소했던 결과값이 1% 상승한 것으로 바뀌었고, 같은 방법으로 2017년 3분기와 4분기 통계도 왜곡되었습니다^4.

특히 2018년 1분기에는 소득 불평등을 나타내는 '소득 5분위 배율'이 역대 최악 수준인 6.01로 집계되자, 가중값 적용 방식을 변경하여 5.95로 낮춰 발표했습니다^15. 이는 당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던 '소득주도성장' 정책의 효과를 부풀리기 위한 조치였습니다.

고용 통계 왜곡

2019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 비정규직이 약 87만 명 급증한 것으로 나타나자, 청와대는 통계청에 조사 방식의 문제로 인한 것이라고 설명하도록 압력을 가했습니다^7. 통계청은 처음에 병행 조사 효과를 23만2000-36만8000명으로 추정했지만, 청와대가 "최소, 최대가 30만에서 50만이지요"라고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후 최종적으로 35만~50만 명으로 공표되었습니다^8.

감사 결과와 조치

감사원은 이번 감사 결과를 토대로 청와대, 국토부, 부동산원, 통계청 관계자 총 31명에 대해 징계 요구(14명)와 인사자료 통보(17명) 등의 조치를 취했습니다^8. 이미 2023년 9월 중간 결과 발표 당시에는 장하성, 김수현, 김상조, 이호승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 22명을 통계법 위반, 직권남용,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검찰에 수사 요청했습니다^12.

감사원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직접 통계 조작에 관여하거나 개입한 정황은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4. 한편, 더불어민주당 전정권정치탄압대책위원회는 "애초에 수많은 공무원, 조사원의 참여로 조작이 불가능한 통계 조작이 가능할 것이라고 믿고 그 결론을 도출한 감사원의 정신 상태가 의심스럽다"며 이번 감사 결과를 "전 정권에 대한 탄압"으로 규정하고 비판했습니다^12.

통계 조작이 국민에게 미친 영향

문재인 정부의 통계 조작은 국민의 올바른 정보 접근권을 심각하게 침해했습니다. 실제로는 집값이 급등했지만, 통계 조작으로 인해 정부 정책이 효과를 보이는 것처럼 왜곡되었고, 소득 불평등이 개선된 것처럼 포장되었습니다^5.

이로 인해 국민들은 잘못된 정보를 기반으로 주택 구매나 투자 결정을 내렸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국가 통계의 신뢰성 훼손은 국내외 투자자들의 신뢰를 잃게 만드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결론: 국가 통계 신뢰성 회복을 위한 과제

감사원의 이번 감사 결과는 우리나라 국가 통계의 독립성과 신뢰성이 얼마나 취약한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통계는 국가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초자료이자,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향후 이러한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계 작성 기관의 독립성을 강화하고, 통계 작성 과정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합니다. 또한 통계법 위반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고, 국가 통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노력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정부는 국민에게 불편한 진실도 왜곡 없이 전달할 의무가 있으며, 국민은 객관적인 사실에 기반하여 정부 정책을 평가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통계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더욱 투명하고 객관적인 통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전환점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Shocking Truth: 102 Cases of Statistical Manipulation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Revealed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n April 17, 2025,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released its final audit results revealing the shocking manipulation of key national statistics during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comprehensive 911-page report details evidence of how the Blue House (Presidential Office)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ystematically pressured the Korea Real Estate Board and Statistics Korea to distort real estate, income, and employment statistics. This article will deeply examine the reality of 102 statistical manipulations over four years and their significance.

The Shocking Reality of Real Estate Statistics Manipulation

According to the BAI's investigation, the Blue House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mproperly influenced the Korea Real Estate Board's housing statistics process 102 times from January 2018 to October 2021. This includes 86 cases of purchase price statistics and 16 cases of jeonse (long-term rental deposit) statistics^1.

Systematic Statistical Manipulation Mechanism

The statistical manipulation was carried out very systematically. The Blue House and the Ministry violated the Statistics Act by demanding the Korea Real Estate Board provide weekly apartment price trend statistics in advance. According to Article 27 of the Statistics Act, statistics being compiled or completed statistics cannot be provided or disclosed to the outside before announcement without justifiable reasons, but this was ignored and advance provision was continuously demanded^4.

Even more shocking is that the Real Estate Board requested the discontinuation of advance statistical provision 12 times, but the Blue House and the Ministry rejected all these requests^3. If they were dissatisfied with the advance statistical figures, they pressured the Real Estate Board to lower the housing price increase rate, and in this process, they even threatened budget cuts or personnel measures^15.

Representative Cases of Statistical Manipulation

In January 2018, it was confirmed that the housing price increase rate in Yangcheon-gu, Seoul was manipulated from 1.32% to 0.89%^5. Additionally, in August 2018, when the mid-week estimate for the Seoul area was reported at 0.67%, the Blue House contacted the Ministry and the Real Estate Board to lower the figures to reflect the effects of the August 27 measures. Eventually, the preliminary figure was announced at 0.47% and the final figure at 0.45%^8.

In June 2019, when the Seoul area variation rate, which had been declining for 31 weeks, turned to 0.00% (unchanged), the Ministry demanded the Real Estate Board maintain the downward trend. In response, the Real Estate Board lowered sample prices 43 times across various branches including Gangnam, reducing prices by a total of 110 million won, and announced the variation rate as -0.01%^8.

In the Real Estate Board's internal group chat, messages such as "The Ministry says to lower it," "They're openly manipulating" were exchanged, and among Blue House administrative officers, conversations like "Don't we need to 'massage' next week?" were also discovered^4.

Distortion of Income and Employment Statistics

Beyond real estate, income and employment statistics were also manipulated to support the Moon administration's core policy of "income-led growth."

Income Statistics Manipulation

When the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Survey for the second quarter of 2017 showed a decrease in household income (-0.6%) for the first time since 2010, Statistics Korea distorted the results by giving more weight to "households with employed persons" who have relatively higher incomes. As a result, the decrease was changed to a 1% increase, and statistics for the third and fourth quarters of 2017 were distorted using the same method^4.

Particularly in the first quarter of 2018, when the "income quintile ratio," which indicates income inequality, was recorded at a worst-ever level of 6.01, the weighting method was changed to lower it to 5.95^15. This was a measure to inflate the effects of the "income-led growth" policy that the Moon government was promoting at the time.

Employment Statistics Distortion

When the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in 2019 showed an increase of approximately 870,000 non-regular workers, the Blue House pressured Statistics Korea to explain this as a problem with the survey method^7. Statistics Korea initially estimated the effect of the parallel survey at 232,000-368,000 people, but after the Blue House suggested guideline that "the minimum and maximum should be 300,000 to 500,000," it was finally announced as 350,000-500,000 people^8.

Audit Results and Measures

Based on this audit, the BAI has taken disciplinary actions against a total of 31 officials from the Blue House, the Ministry, the Real Estate Board, and Statistics Korea, including disciplinary requests for 14 individuals and personnel record notifications for 17 individuals^8. In September 2023, when the interim results were announced, 22 individuals including former Blue House policy chiefs Jang Ha-sung, Kim Soo-hyun, Kim Sang-jo, and Lee Ho-seung were already referred to the prosecution for investigation on charges of violating the Statistics Act, abuse of authority, and obstruction of business^12.

The BAI stated that it could not confirm whether former President Moon Jae-in was directly involved in or intervened in the statistical manipulation^4. Meanwhile, the Democratic Party's Political Oppression Countermeasure Committee criticized this audit result as "oppression against the former administration," stating, "It is doubtful about the mental state of the BAI which concluded that statistical manipulation, which is impossible with the participation of numerous civil servants and investigators, would be possible"^12.

The Impact of Statistical Manipulation on Citizens

The Moon administration's statistical manipulation seriously infringed upon citizens' right to access accurate information. While housing prices were actually soaring, the manipulation made government policies appear effective, and income inequality was portrayed as improving^5.

As a result, citizens likely made housing purchase or investment decisions based on incorrect information. Moreover, the damage to the credibility of national statistics could lead to serious consequences, such as losing the trust of domestic and foreign investors.

Conclusion: Tasks for Restoring National Statistical Credibility

The BAI's audit results clearly show how vulnerable the independence and reliability of our national statistics are. Objective and accurate statistics are important basic data that determine the direction of national policies and are key elements that guarantee citizens' right to know.

To prevent such incidents in the future, institutional mechanisms are needed to strengthen the independence of statistical agencies and increase transparency in the statistical compilation process. It is also necessary to strengthen penalties for violations of the Statistics Act an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national statistics.

The government has an obligation to convey the truth to citizens without distortion, even when it is uncomfortable, and citizens have the right to evaluate government policies based on objective facts. We hope this incident will serve as a turning point for restoring the credibility of national statistics and building a more transparent and objective statistical system.


참고 문헌 및 출처

  • KBS News,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통계 102회 조작"…감사 최종결과 발표
  • 매일경제, "폭주·갑질·대놓고 조작"…감사원, 文정부 통계조작 최종 감사결과 공개
  • 대한경제, 감사원 "文정부, 부동산 실패 감추려 102회 통계 조작"
  • 연합뉴스, 감사원 "文정부 집값통계 왜곡·조정 102회…소주성 허위 홍보"
  • 뉴데일리, 文 정부, 4년간 102차례 부동산 통계 조작 … 집값 폭등 '분식', 국민 속여
  • 동아일보, 文정부 부동산 통계조작 최소102회…맘 안들면 "사표 내시죠"
  • 매거진한경, "낮추자, 국토부에서 지시 왔다" 文정부 통계조작 드러나
  • 경향신문, 감사원 "문재인 정부, 집값 통계 102차례 왜곡 지시"
  • 세계일보, "지금 뭐하냐" 청와대 질타에 오름폭 낮췄다…文정부 주택통계 102회 조작

해시태그

#감사원 #문재인정부 #통계조작 #부동산통계 #소득통계 #고용통계 #청와대 #국토교통부 #한국부동산원 #통계청 #소득주도성장 #집값통계 #국가통계 #통계법위반 #정책실패 #정부책임 #국민알권리 #투명성 #독립성 #신뢰성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