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레커'라는 단어가 익숙해진 시대, 그 중심에 서 있는 인물 중 하나가 바로 김세의와 그가 이끄는 가로세로연구소입니다. 온라인 세계에서 진실과 거짓의 경계가 모호해지는 가운데, 이들이 만들어 내는 다양한 음모론은 많은 사람들의 삶에 깊은 상처를 남기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김세의와 가로세로연구소가 어떤 인물과 단체인지, 그리고 그들이 제기한 음모론들이 어떤 사회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김세의는 누구인가: 기자에서 '사이버 레커'로
김세의는 1976년 6월 26일 서울에서 태어난 48세의 언론인이자 유튜버입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그는 언뜻 보기에 화려한 이력의 소유자입니다^1. 2004년부터 14년간 MBC 기자로 활동하며 언론인으로서의 경력을 쌓았고, 2007년에는 계룡대 내 유흥업소의 실태를 폭로하는 보도로 주목받기도 했습니다^3.
하지만 그의 배경을 더 깊이 들여다보면, 김세의는 이른바 '금수저' 출신으로, 그의 아버지는 전 MBC 사장이자 제10대 국회에서 유신정우회 소속 관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영수입니다^3. 이러한 배경은 그가 언론계에 입문하고 커리어를 쌓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입니다.
2018년 8월, 김세의는 MBC를 퇴사하고 전 국회의원 강용석과 함께 가로세로연구소라는 우파 성향의 싱크탱크를 설립했습니다^1. 이후 그는 유튜브 채널을 통해 뉴스 평론과 취재 영상을 올리며 활동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세이엔터'를 별도로 설립했습니다^3.
"언론인에서 유튜버로, 김세의의 변신은 단순한 직업 변경이 아닌 정보 전달 방식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했습니다. 검증된 사실보다 자극적인 콘텐츠가 우선시되는 플랫폼으로 이동한 것입니다."
가로세로연구소: 음모론 제조 공장의 실체
가로세로연구소(일명 '가세연')는 2018년 8월 김세의와 강용석이 공동으로 창립한 우파 성향의 싱크탱크로, 유튜브 채널을 통해 뉴스 평론과 취재 영상을 발표하고 있습니다^1. 스스로를 "좌편향된 언론의 대안"이라고 주장하며, 김세의는 저서 <좌파가 장악한 대한민국>에서 대한민국 언론의 극단적인 편향성을 비판하고, 유튜브를 새로운 미디어 플랫폼으로 활용하는 대안 언론의 선봉에 섰다고 주장합니다^6.
하지만 가로세로연구소의 활동은 단순한 '대안 언론'의 범주를 넘어서, 다양한 음모론을 확산시키고 개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사이버 레커'로서의 면모를 보여왔습니다. 특히 2021년 9월에는 김세의를 포함한 가로세로연구소 출연진 3명이 지속적으로 여러 피해자들의 고소에 대한 조사를 위한 경찰의 출석 요구에 불응한 것으로 인해 체포되기도 했습니다^1.
"가로세로연구소는 대안 언론을 표방하지만, 그들이 생산하는 콘텐츠는 검증되지 않은 의혹과 자극적인 음모론이 대부분입니다. 이는 진정한 언론의 역할과 거리가 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이버 레커와 음모론: 진실을 왜곡하는 위험한 게임
사이버 레커(렉카)는 사이버 공간에서 개인의 사생활을 무분별하게 폭로하거나 허위사실을 유포해 이득을 취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입니다^2. 이들은 주로 유명인의 사생활을 파헤치거나 정치적 음모론을 제기하며 조회수와 구독자를 늘리고, 이를 통해 경제적 이득을 취합니다.
가로세로연구소는 이러한 사이버 레커의 대표적인 사례로, 다양한 음모론을 제기하며 논란의 중심에 서 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들을 살펴보겠습니다:
1. 쯔양 사건과 중국 간첩 음모론
유명 먹방 유튜버 쯔양(박정원)은 과거 남자친구에게 학대당하고 돈을 뜯겼다는 사실이 알려진 후, 구제역 등 사이버 레커들에게 공갈 협박을 받았습니다. 가로세로연구소는 쯔양의 사생활을 무단으로 공개했을 뿐만 아니라, "중국 간첩 왕해군을 포함해서 온갖 세력들이 다 연관된" 사건이라는 근거 없는 음모론을 제기했습니다^4.
쯔양은 인터뷰에서 "나는 중국을 가본 적도 없다"며 "정치 관련해서 나를 연관 지으면 나는 무슨 이야기인지 알아듣지도 못한다"고 반박했으며, 가로세로연구소 등을 허위사실 유포 혐의로 고소했습니다^4. 쯔양은 이러한 2차 가해로 인해 "제가 죽어야 끝나는 건가요"라고 토로할 정도로 큰 고통을 겪었습니다^10.
2. 문준용 관련 코로나19 음모론
2020년 12월, 가로세로연구소는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 시행 시기가 문재인 당시 대통령의 아들 문준용의 전시회 일정(2020년 12월 23일까지) 이후로 미뤄질 것이라는 억측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더불어민주당은 "억측과 음모로 분열을 조장하는 가로세로연구소의 악의적 행태를 규탄한다"며 "3단계 격상 여부가 마치 대통령의 사적인 판단에 따라 이뤄지는 것처럼 왜곡한다"고 비판했습니다^5.
3. 버닝썬 공익제보자 관련 음모론
버닝썬 사건의 공익제보자는 2019년 2월 국가권익위원회에 가수 정준영의 '단체 카카오톡 대화방' 내용을 제보하여 성범죄와 마약 유통 정황 등을 밝혀냈습니다. 그러나 2023년 2월, 김세의는 방송에서 제보자의 실명과 얼굴을 공개하고, 제보자가 특정 정당과 가깝고 제보 내용이 조작됐다는 근거 없는 주장을 펼쳤습니다^2.
제보자는 "모든 것을 잃었다"며 법정 다툼을 시작했고, 권익위원회가 나서 검찰에 고발했지만 효과가 없었습니다^7.
[이슈] - 음모론의 그림자: 버닝썬 공익제보자가 겪고 있는 위기와 그 뒤에 숨겨진 진실
음모론의 그림자: 버닝썬 공익제보자가 겪고 있는 위기와 그 뒤에 숨겨진 진실
한국 연예계와 사회를 뒤흔든 버닝썬 스캔들의 실체를 밝히는 데 결정적 역할을 했던 공익제보자가 현재 심각한 음모론과 사이버 폭력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이 제보자는 "사이버폭력은 당해보
agent-katrina.tistory.com
4. 김수현과 고 김새론 관련 허위사실 유포
2025년 3월, 가로세로연구소는 유튜브 방송을 통해 배우 김수현과 고 김새론 사이의 교제설, 음주운전 사고 당시 소속사의 대처 문제 등에 대한 주장을 펼쳤으나, 김수현의 소속사 골드메달리스트는 이 모든 내용이 허위 사실이라고 밝히고 가장 강력한 수준의 법적 대응을 예고했습니다^13.
소속사는 "고 김새론 배우의 사망 소식에 비통한 심정을 표하며, 가로세로연구소의 행위가 고인이 생전 힘들어했던 사이버 렉카의 행태를 답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13.
[이슈] - 김수현-김새론 논란의 미스터리: 미성년 교제 의혹부터 마지막 메시지까지
김수현-김새론 논란의 미스터리: 미성년 교제 의혹부터 마지막 메시지까지
배우 김수현과 고 김새론을 둘러싼 논란이 전 세계적 관심사로 떠올랐습니다. 미성년자 교제 의혹부터 채무 압박 주장까지, 엇갈린 증언과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배우 김수현의 커리어가 심
agent-katrina.tistory.com
5. 사전투표 조작 음모론
2020년 4월 총선 이후, 가로세로연구소는 사전투표 개표 조작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나 미래통합당 이준석 최고위원은 "반성하고 혁신을 결의해야 할 시점에 사전투표 의혹론을 물면 안 된다"며 "더는 사전투표 조작설 이야기하는 사람은 그냥 이런 유튜버 농간에 계속 놀아나겠다고 선언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8.
사이버 레커가 남기는 상처: 실제 피해자들의 목소리
사이버 레커들의 음모론과 허위사실 유포는 실제 인물들에게 깊은 상처와 고통을 남깁니다. 쯔양은 인터뷰에서 "뭔가 어떻게든 그냥 저를 죽이고 싶어 하는 것 같다고 느껴질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라고 고백했습니다^10. 또한 배우 고 김새론은 생전에 유튜브에 퍼진 가짜뉴스 때문에 고통스러워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12.
버닝썬 사건의 공익제보자는 정의를 위해 용기 있는 행동을 한 결과, 오히려 자신의 신상이 공개되고 근거 없는 음모론에 시달리게 되었습니다^2. 이러한 현실은 앞으로 비리나 범죄를 목격한 사람들이 제보를 주저하게 만드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사이버 레커들의 행위는 단순한 표현의 자유를 넘어 개인의 인권과 명예를 심각하게 침해하는 문제입니다. 이로 인해 실제 피해자들은 정신적 고통을 겪고, 때로는 극단적인 선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리 사회는 심각하게 인식해야 합니다."
결론: 온라인 공간의 책임 있는 정보 소비와 생산
김세의와 가로세로연구소로 대표되는 사이버 레커의 음모론은 단순한 가십거리를 넘어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개인의 삶을 파괴하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이들은 '대안 언론'이라는 명목 하에 검증되지 않은 정보와 자극적인 음모론을 퍼뜨리며, 조회수와 구독자 수 증가라는 이익을 추구합니다.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정보 소비자로서 우리 모두가 비판적 사고를 갖추고,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무분별하게 수용하거나 공유하지 않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합니다. 또한 사이버 레커들의 행위에 대한 법적, 제도적 규제를 강화하여 무고한 피해자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온라인 공간이 우리 삶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현대 사회에서, 진실과 거짓을 구분하고 책임 있는 정보 생산과 소비 문화를 만들어 나가는 것은 우리 모두의 과제입니다. 김세의와 가로세로연구소의 사례는 이러한 과제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경종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
The Controversy Creators of Cyberspace: Kim Se-eui and Garosero Research Institute's Conspiracy Theories
In an era where the term 'cyber wrecker' has become familiar, one of the central figures is Kim Se-eui and his Garosero Research Institute. As the boundaries between truth and falsehood become increasingly blurred in the online world, the various conspiracy theories they produce leave deep scars on many people's lives.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who Kim Se-eui and the Garosero Research Institute are, and what social impact their conspiracy theories have had.
Who is Kim Se-eui: From Journalist to 'Cyber Wrecker'
Kim Se-eui is a 48-year-old journalist and YouTuber born on June 26, 1976, in Seoul. A graduat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s Political Science Department with a master's degree in Business Administration from the same university, he appears at first glance to have an impressive background^1. He worked as an MBC journalist for 14 years from 2004, building his career as a journalist, and gained attention in 2007 for exposing the reality of entertainment establishments within the Gyeryong military base^3.
However, looking deeper into his background, Kim Se-eui comes from a privileged family. His father is Kim Young-soo, a former MBC president and an appointed congressman from the Yushin Jeongwoo Party in the 10th National Assembly^3. This background likely influenced his entry into journalism and career development.
In August 2018, Kim Se-eui resigned from MBC and established the right-wing think tank Garosero Research Institute with former congressman Kang Yong-seok^1. Since then, he has been active through his YouTube channel, posting news commentaries and investigative videos, and in 2023, he established 'Say Enter' separately^3.
"Kim Se-eui's transformation from journalist to YouTuber represents not just a career change but a fundamental shift in how information is delivered. He moved to a platform where sensational content takes precedence over verified facts."
Garosero Research Institute: The Reality of a Conspiracy Theory Factory
Garosero Research Institute (known as 'Gaseyon') is a right-wing think tank co-founded by Kim Se-eui and Kang Yong-seok in August 2018, which presents news commentaries and investigative videos through its YouTube channel^1. Claiming to be an "alternative to left-biased media," Kim Se-eui criticizes the extreme bias of South Korean media in his book and claims to be at the forefront of alternative media utilizing YouTube as a new media platform^6.
However, Garosero Research Institute's activities have gone beyond the category of 'alternative media,' showing aspects of a 'cyber wrecker' that spreads various conspiracy theories and damages individuals' honor. In September 2021, three members of Garosero Research Institute, including Kim Se-eui, were arrested for continuously refusing to comply with police requests for investigation regarding complaints from various victims^1.
"While Garosero Research Institute claims to be alternative media, most of the content they produce consists of unverified allegations and sensational conspiracy theories. This can be seen as far from the true role of journalism."
Cyber Wreckers and Conspiracy Theories: A Dangerous Game of Distorting Truth
Cyber wreckers (or "rekka") refer to people who indiscriminately expose individuals' private lives or spread false information in cyberspace for profit^2. They typically dig into celebrities' private lives or raise political conspiracy theories to increase views and subscribers, thereby gaining economic benefits.
Garosero Research Institut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cyber wreckers, standing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by raising various conspiracy theories. Let's look at some representative cases:
1. The Tzuyang Case and Chinese Spy Conspiracy Theory
Famous mukbang YouTuber Tzuyang (Park Jung-won) was blackmailed by cyber wreckers such as Gujeyeok after it was revealed that she had been abused and extorted by her boyfriend in the past. Garosero Research Institute not only disclosed Tzuyang's private life without permission but also raised an unfounded conspiracy theory that it was a "case involving all kinds of forces, including the Chinese spy Wang Haijun"^4.
In an interview, Tzuyang refuted, "I have never even been to China" and "If you associate me with politics, I don't even understand what you're talking about," and she filed a lawsuit against Garosero Research Institute for spreading false information^4. Tzuyang suffered so much from this secondary victimization that she lamented, "Does it only end when I die?"^10.
2. Moon Joon-yong Related COVID-19 Conspiracy Theory
In December 2020, Garosero Research Institute suggest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level 3 for COVID-19 would be postponed until after the exhibition schedule of Moon Joon-yong, then-President Moon Jae-in's son (until December 23, 2020). The Democratic Party criticized this, stating, "We condemn Garosero Research Institute's malicious behavior of promoting division through conjecture and conspiracy," and that "it distorts as if the decision to raise to level 3 is made according to the president's private judgment"^5.
3. Burning Sun Whistleblower Conspiracy Theory
In February 2019, a whistleblower reported the contents of singer Jung Joon-young's "group KakaoTalk chat room" to the Anti-Corruption and Civil Rights Commission, revealing evidence of sexual crimes and drug distribution. However, in February 2023, Kim Se-eui revealed the whistleblower's real name and face during a broadcast and made unfounded claims that the whistleblower was close to a specific political party and that the reported content was fabricated^2.
The whistleblower, stating that they "lost everything," began legal battles, and although the Commission reported the case to the prosecution, it was ineffective^7.
4. Spreading False Information about Kim Soo-hyun and the Late Kim Sae-ron
In March 2025, Garosero Research Institute made claims through a YouTube broadcast about a dating relationship between actor Kim Soo-hyun and the late Kim Sae-ron, issues with the agency's handling of a drunk driving accident, and more. However, Kim Soo-hyun's agency, Gold Medalist, stated that all of this content was false and announced their intention to take the strongest legal action^13.
The agency expressed "deep sorrow at the news of the late Kim Sae-ron's death" and pointed out that "Garosero Research Institute's actions are following in the footsteps of the cyber wreckers that the deceased suffered from while alive"^13.
5. Early Voting Manipulation Conspiracy Theory
After the April 2020 general election, Garosero Research Institute raised suspicions of early voting count manipulation. However, Future Unified Party Supreme Council Member Lee Jun-seok criticized this, saying, "At a time when we should be reflecting and resolving to innovate, we shouldn't bite into early voting suspicion theories," and that "anyone who continues to talk about early voting manipulation theories is declaring that they will continue to be played by such YouTuber tricks"^8.
The Scars Left by Cyber Wreckers: Voices of Real Victims
The conspiracy theories and false information spread by cyber wreckers leave deep wounds and pain on real individuals. In an interview, Tzuyang confessed, "I can't help but feel like they just want to kill me somehow"^10. Additionally, it is known that actress Kim Sae-ron suffered from fake news spread on YouTube during her lifetime^12.
The whistleblower in the Burning Sun case, who took courageous action for justice, instead had their personal information disclosed and was subjected to baseless conspiracy theories^2. This reality could have the side effect of making people who witness corruption or crime hesitant to report in the future.
"Cyber wreckers' actions go beyond simple freedom of expression to seriously infringe on individuals' human rights and honor. Society must seriously recognize that real victims suffer mental anguish because of this, which can sometimes lead to extreme choices."
Conclusion: Responsible Information Consumption and Production in Online Spaces
The conspiracy theories of cyber wreckers represented by Kim Se-eui and Garosero Research Institute are a serious problem that goes beyond simple gossip to promote social conflict and division and destroy individual lives. Under the guise of 'alternative media,' they spread unverified information and sensational conspiracy theories, pursuing the benefit of increased views and subscribers.
To respond to this phenomenon, we all need media literacy as information consumers, equipped with critical thinking, not to indiscriminately accept or share unverified information. Additionally, legal and institutional regulations against cyber wreckers' action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innocent victims from occurring.
In modern society, where online spaces occupy an important part of our lives, distinguishing between truth and falsehood and creating a culture of responsible information production and consumption is a task for all of us. The case of Kim Se-eui and Garosero Research Institute should serve as a wake-up call to the importance of this task.
해시태그
#김세의 #가로세로연구소 #사이버레커 #음모론 #가짜뉴스 #쯔양 #버닝썬 #김수현 #김새론 #문준용 #언론윤리 #미디어리터러시 #온라인피해 #사생활침해 #명예훼손 #유튜브 #우파성향 #디지털윤리 #사이버폭력 #허위사실유포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대표 항소심 무죄 판결: 정치적 파급력과 법적 쟁점 총정리 (2) | 2025.04.07 |
---|---|
기대와 실망 사이: 봉준호 감독의 '미키17'가 흥행에서 고전한 이유 (0) | 2025.04.07 |
아이유-허혜선 음모론: 인터넷 루머의 실체와 '물타기' 심리학 (2) | 2025.04.07 |
음모론의 그림자: 버닝썬 공익제보자가 겪고 있는 위기와 그 뒤에 숨겨진 진실 (0) | 2025.04.07 |
연예계 진실 공방: 서예지, 허위사실 유포 전 직원 고소로 본 연예인 명예훼손 문제 (0) | 2025.04.07 |